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패스트 푸드 순위“?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evnhongphuc.com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17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패스트 푸드 순위 한국 패스트푸드 순위, 패스트푸드 종류, 미국 패스트푸드 순위, 패스트푸드 문제점, 패스트푸드 브랜드, 인기 프랜차이즈, 정크푸드, 체인점 창업
No | 브랜드명 | 가맹점 수 |
---|---|---|
1 | 웰덤치킨 | 87 |
2 | 맘스터치 | 1,167 |
3 | 서브웨이(Subway) | 352 |
4 | 롯데리아 | 1,207 |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창업 순위
No 브랜드명 사업연도 가맹점 수 신규창업 수 폐점 수 가맹점 평균 매출 부담금 1 웰덤치킨 2018 87 87 0 137,728 34,550 2 맘스터치 2001 1,167 85 18 425,896 139,369 3 서브웨이(Subway) 1997 352 50 2 625,219 583,277 4 롯데리아 1980 1,207 37 46 647,888 387,956 5 뉴욕핫도그앤커피 2003 120 28 30 48,858 68,780 6 퀴즈노스서브 2006 68 23 6 274,592 163,349 7 메이젠 2018 22 22 0 0 71,600 8 비스트로피자 2017 21 20 0 182,060 43,570 9 KFC 1984 193 13 30 929,633 413,400 10 쑤와리질러 2015 15 12 19 0 57,150 11 피치버’S 2018 12 12 0 0 38,200 12 버거킹(Burger King) 1985 99 10 6 913,851 551,840 13 석봉토스트 2004 161 10 21 0 44,200 14 마녀돈앤파스타 2017 10 8 0 0 20,600 15 도이첸 2014 36 7 17 97,309 143,550 16 스테프핫도그 2002 59 7 10 112,906 92,917 17 팔팔핫도그 2016 37 7 14 14,702 25,700 18 델리랩 (Delilab) 2017 15 6 0 115,477 69,900 19 멜팅그릴 2017 10 6 6 138,481 55,146 20 버거307 2014 13 5 2 244,373 66,250
웰덤치킨, 맘스터치, 서브웨이(Subway), 롯데리아, 뉴욕핫도그앤커피, 퀴즈노스서브, 메이젠, 비스트로피자, KFC, 쑤와리질러, 피치버’S, 버거킹(Burger King), 석봉토스트, 마녀돈앤파스타, 도이첸, 스테프핫도그, 팔팔핫도그, 델리랩 (Delilab), 멜팅그릴,버거307 이다.
테마성 또는 일시적인 트랜드로 창업이 많이 된 경우도 있어 창업자가 여러 정보를 찾아 보는 꼼꼼함이 필요합니다.
- Source: happyhaja.com
- Views: 78805
- Publish date: 43 minute ago
- Downloads: 30218
- Likes: 8766
- Dislikes: 6
- Title Website: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창업 순위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35032
- Date: 15 minute ago
- Download: 50539
- Likes: 6778
- Dislikes: 1
프랜차이즈 창업, 순위 정보
이번 포스팅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창업 순위로
상위 20개 브랜드를 기준으로 정리 하였습니다.
창업 순위는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신규 창업을 많이 한 브랜드 기준으로 정리를 하였으며
테마성 또는 일시적인 트랜드로 창업이 많이 된 경우도 있어 창업자가 여러 정보를 찾아 보는 꼼꼼함이 필요합니다.
기준은 2018년 신규 창업 수가 많은 브랜드로 순위를 정리하였습니다.
(정보의 변경등으로 조회/작성한 시점과 읽는 시점의 자료가 다를 수있음)
신규 창업 상위 브랜드는
웰덤치킨, 맘스터치, 서브웨이(Subway), 롯데리아, 뉴욕핫도그앤커피, 퀴즈노스서브, 메이젠, 비스트로피자, KFC, 쑤와리질러, 피치버’S, 버거킹(Burger King), 석봉토스트, 마녀돈앤파스타, 도이첸, 스테프핫도그, 팔팔핫도그, 델리랩 (Delilab), 멜팅그릴,버거307 이다.
단위: 천원
No 브랜드명 사업연도 가맹점 수 신규창업 수 폐점 수 가맹점 평균 매출 부담금 1 웰덤치킨 2018 87 87 0 137,728 34,550 2 맘스터치 2001 1,167 85 18 425,896 139,369 3 서브웨이(Subway) 1997 352 50 2 625,219 583,277 4 롯데리아 1980 1,207 37 46 647,888 387,956 5 뉴욕핫도그앤커피 2003 120 28 30 48,858 68,780 6 퀴즈노스서브 2006 68 23 6 274,592 163,349 7 메이젠 2018 22 22 0 0 71,600 8 비스트로피자 2017 21 20 0 182,060 43,570 9 KFC 1984 193 13 30 929,633 413,400 10 쑤와리질러 2015 15 12 19 0 57,150 11 피치버’S 2018 12 12 0 0 38,200 12 버거킹(Burger King) 1985 99 10 6 913,851 551,840 13 석봉토스트 2004 161 10 21 0 44,200 14 마녀돈앤파스타 2017 10 8 0 0 20,600 15 도이첸 2014 36 7 17 97,309 143,550 16 스테프핫도그 2002 59 7 10 112,906 92,917 17 팔팔핫도그 2016 37 7 14 14,702 25,700 18 델리랩 (Delilab) 2017 15 6 0 115,477 69,900 19 멜팅그릴 2017 10 6 6 138,481 55,146 20 버거307 2014 13 5 2 244,373 66,250
자료 참고
프랜차이즈 파트너스 http://www.fcpartners.co.kr
세계 패스트푸드 브랜드 순위 top 10 (맥도날드 1위, 스타벅스 2위)
1987년생 지방광역시 출신 평범한 직장인이 경제적 자유인으로 거듭나는 과정, 팁, 생각을 공유하는 블로그
10 thg 12, 2019 — 압도적으로 맥도널드가 1위입니다. 순위대로 1위 맥도널드 2위 스타벅스 3위 KFC 4위 서브웨이 5위 도미노피자 6위 피자헛 7위 버거킹 8위 팀 호튼 …
- Source: etfplant.tistory.com
- Views: 77959
- Publish date: 20 minute ago
- Downloads: 31959
- Likes: 9403
- Dislikes: 6
- Title Website: 세계 패스트푸드 브랜드 순위 top 10 (맥도날드 1위, 스타벅스 2위)
- Description Website: 10 thg 12, 2019 — 압도적으로 맥도널드가 1위입니다. 순위대로 1위 맥도널드 2위 스타벅스 3위 KFC 4위 서브웨이 5위 도미노피자 6위 피자헛 7위 버거킹 8위 팀 호튼 …
Fast Food Chain Restaurants Ranking Changes in Korea (1979-2019)
- Source: Youtube
- Views: 7468
- Date: 8 hours ago
- Download: 64696
- Likes: 6464
- Dislikes: 7
세계 패스트푸드 브랜드 순위 top 10 (맥도날드 1위, 스타벅스 2위)
1987년생 지방광역시 출신 평범한 직장인이 경제적 자유인으로 거듭나는 과정, 팁, 생각을 공유하는 블로그
미국 Top 30 패스트푸드 외식산업 지도(+스타벅스, 도미노피자)
미화 129 Bil 달러 브랜드 가치를 지닌 맥도날드는 Domino’s Pizza , Subway , Yum! 브랜드(타코벨, KFC, 피자헛의 모회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패스트푸드 브랜드 목록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맥도날드와 같은 버거 레스토랑이 가장 일반적으로 미국 퀵 서비스 레스토랑 시장과 관련이 있지만 샌드위치 체인 서브웨이는 미국에서만 23,500개를 보유한 가장 큰 QSR 체인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QSR(Quick Service Restaurant) 또는 LSR(Limited Service Restaurant)은 저렴한 가격으로 식사를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빠른 서비스, 제한된 메뉴 및 제한된 테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입니다. (QSR, LSR 모두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로 불림)
한편 치킨 전문점 Chick-fil-A는 84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QSR입니다. Chick-fil-A는 또한 미국 레스토랑 체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드라이브 스루 주문 정확도를 수상했습니다. 반면 Dunkin’ 은 가장 긴 드라이브 스루 시간을 기록 했습니다.
28 thg 1, 2022 — 2019년 12월에 작성된 미국 패스트푸드 지형도 자료 입니다. . 왼쪽부터, 매출액 순위 / 음식업종별 크기 / 매출액,점포수 자료 입니다.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71782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78333
- Likes: 2122
- Dislikes: 10
- Title Website: 미국 Top 30 패스트푸드 외식산업 지도(+스타벅스, 도미노피자)
- Description Website: 28 thg 1, 2022 — 2019년 12월에 작성된 미국 패스트푸드 지형도 자료 입니다. . 왼쪽부터, 매출액 순위 / 음식업종별 크기 / 매출액,점포수 자료 입니다.
세계 패스트푸드 순위 탑10 _ 패스트푸드 _ 패스트푸드 순위 _ 세계패스트푸드순위
- Source: Youtube
- Views: 79833
- Date: 40 minute ago
- Download: 109076
- Likes: 9050
- Dislikes: 6
미국 Top 30 패스트푸드 외식산업 지도(+스타벅스, 도미노피자)
미국 패스트푸드 소비 지출액 : 272 Bil 달러
(한화 324조원, 1190원/달러 기준)
브랜드 가치가 가장 높은 패스트푸드 : 맥도날드
QSR(Quick Service Restaurant) 또는 LSR(Limited Service Restaurant)은 저렴한 가격으로 식사를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빠른 서비스, 제한된 메뉴 및 제한된 테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입니다. (QSR, LSR 모두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로 불림)
미국의 QSR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잘 확립된 산업 중 하나인데, 가장 큰 글로벌 QSR 브랜드중 다수가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세계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COVID-19 대유행의 결과로 미국 QSR 산업의 총 매출액은 2019년 2,730억 달러에서 2020년 2,390억 달러로 감소했습니다 .
미국 최대 패스트푸드 브랜드는?
미국 패스트푸드 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새로운 개념으로 넘쳐났지만, 잘 정립된 미국 QSR 브랜드는 계속해서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출액에서 맥도날드가 40.41 Bil 달러고 가장 높은 금액을 차지하며, 스타벅스가 2위를 차지합니다.
미화 129 Bil 달러 브랜드 가치를 지닌 맥도날드는 Domino’s Pizza , Subway , Yum! 브랜드(타코벨, KFC, 피자헛의 모회사)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패스트푸드 브랜드 목록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맥도날드와 같은 버거 레스토랑이 가장 일반적으로 미국 퀵 서비스 레스토랑 시장과 관련이 있지만 샌드위치 체인 서브웨이는 미국에서만 23,500개를 보유한 가장 큰 QSR 체인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고객만족도가 가장 높은 패스트푸드점은?
2020년 미국의 퀵서비스 레스토랑의 고객만족도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78점이었습니다. 맥도날드는 70점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고객 만족도가 업계 평균보다 8점 낮음을 의미합니다.
한편 치킨 전문점 Chick-fil-A는 84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QSR입니다. Chick-fil-A는 또한 미국 레스토랑 체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드라이브 스루 주문 정확도를 수상했습니다. 반면 Dunkin’ 은 가장 긴 드라이브 스루 시간을 기록 했습니다.
누구나 좋아하는 간편한 한끼, 2021 패스트푸드 브랜드 Top3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 thg 1, 2022 — 각 패스트푸드점 브랜드의 누적 차량도착수는 맥도날드가 4,101,640대로 1위, 버거킹이 1,773,244대로 2위, 롯데리아가 1,667,972대로 3위에 올랐다. 현재 …
- Source: mirakle.mk.co.kr
- Views: 20990
- Publish date: 16 hours ago
- Downloads: 103800
- Likes: 6671
- Dislikes: 7
- Title Website: 누구나 좋아하는 간편한 한끼, 2021 패스트푸드 브랜드 Top3
- Description Website: 3 thg 1, 2022 — 각 패스트푸드점 브랜드의 누적 차량도착수는 맥도날드가 4,101,640대로 1위, 버거킹이 1,773,244대로 2위, 롯데리아가 1,667,972대로 3위에 올랐다. 현재 …
최고의 햄버거는…!
- Source: Youtube
- Views: 62651
- Date: 11 minute ago
- Download: 30620
- Likes: 401
- Dislikes: 9
누구나 좋아하는 간편한 한끼, 2021 패스트푸드 브랜드 Top3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패스트푸드는 일상이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언제 어디서나 찾을 수 있고, 빠르고 간편하면서 저렴하게 끼니를 때우기에도 좋아 시간에 쫓기는 직장인들과 학생 등이 즐겨 찾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작년 한 해 동안 외식 소비자가 선호하는 메뉴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 패스트푸드는 포장 소비자 선호도 1위, 방문 소비자 선호도 2위에 올랐다고 한다.올해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여러 외식 브랜드가 고전했지만, 패스트푸드점은 포장, 배달 주문 비중을 강화하며 독자적인 생존 전략을 구축해 나갔다. 올해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패스트푸드 브랜드는 어디였을까? TDI(티디아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내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 브랜드 Top3를 분석해봤다.TDI(티디아이)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Data Dragon)을 활용해 Tmap을 이용하여 올해(기간 1월 1일~11월 30일) 패스트푸드점을 찾은 이들의 동향을 조사했다. 각 패스트푸드점 브랜드의 누적 차량도착수는 맥도날드가 4,101,640대로 1위, 버거킹이 1,773,244대로 2위, 롯데리아가 1,667,972대로 3위에 올랐다.현재 전국에 약 400여 개의 매장을 운영 중인 맥도날드는 세계 패스트푸드 햄버거의 대명사 격인 브랜드답게 2, 3위 브랜드와 2배 이상의 격차를 벌리며 높은 차량도착수를 기록했다. 맥도날드의 간판 메뉴 ‘빅맥’은 맛과 품질, 가격 등에 있어서 전 세계 프랜차이즈 햄버거의 표준 모델이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버거킹은 올해 누적 차량도착수 2위의 패스트푸드 브랜드로 조사됐다. 전국에 430여 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3위 브랜드 롯데리아보다 11만 대가량 많은 누적 차량도착수를 기록했다. 버거킹은 대표 메뉴 ‘와퍼’처럼 타 브랜드 대비 약간 더 비싸지만, 그만큼 고급스러운 버거의 품질로 인기 있다.2021년 누적 차량도착수 3위에 자리한 롯데리아는 Top3 중 유일하게 한국/일본 기업의 패스트푸드 브랜드다. 1979년 영업을 시작해 우리나라 최초의 햄버거 프랜차이즈이기도 한 롯데리아는 현재 전국에 약 1,300개로 가장 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타 브랜드 대비 저렴하고 실속 있는 데리버거, 새우버거, 불고기버거 등이 대표 메뉴다.올해 Top3 패스트푸드점의 차량도착수를 합산해보았다. 합산 결과, 1월부터 11월까지 각 패스트푸드점의 누적 차량도착수는 작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12월 들어서도 패스트푸드점을 찾는 이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서 이번 12월, 더욱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맥도날드는 매년 연말이면 새해 희망과 행운을 상징하는 ‘행운버거’를 한정 판매하는데, 연말연시 시즌에만 맛볼 수 있는 한정 메뉴임과 동시에 고객이 지불한 ‘행운버거’ 값의 일부를 기부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이 시기에 맥도날드를 찾는다.버거킹은 고객 편의 및 혜택 확대를 목표로 브랜드 앱을 리뉴얼하고, 멤버십 서비스를 런칭했다. 12월 한 달간 버거킹 앱을 통해 로그인하는 회원에게는 다양한 할인 쿠폰과 경품 이벤트 응모권 등이 주어진다. 롯데리아의 경우 지난 22일, 브랜드 사상 최초로 매장 이용자들에게 특별한 공간 경험을 전달하기 위한 신개념 매장 롯데리아 ’L7 홍대점’을 선보였다.[TDI는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기준으로 작성합니다.][TDI 차주헌 매니저 [email protected]]Copyright ⓒ TDI. All rights reserved.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패스트푸드 순위 Top 10
다른 모든 햄버거의 기준처럼, 빅맥보다 크다, 가격이 비싸다 싸다..이런식으로 애기하고, 빅맥지수라고 경제적인 용어도 만들어낸 브랜드이니까요.
(뉴욕에서 일본친구들이랑 파티할때 닭튀김 먹고 싶다고 해서, 한인타운에 양념치킨 사가지고 가서, 정말…정말! 인기 스타 됬습니다. ㅋㅋ)
아마 부리또 라는 음식은 들어보셨을겁니다. 어떻게 보면 멕시칸 스타일 패스트푸드데, 요 부리또가 맛있기로 유명한 곳이 바로 치롤레입니다.
5 thg 9, 2014 — 과연 여러분들이 좋아하시는 패스트푸드는 몇위에 랭크되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저는 버거킹이 젤로 좋습니다. 와퍼찡 사랑행!) 1위 맥도날드. 휴..
- Source: robatokim.tistory.com
- Views: 99343
- Publish date: 54 minute ago
- Downloads: 55931
- Likes: 1879
- Dislikes: 3
- Title Website: 패스트푸드 순위 Top 10
- Description Website: 5 thg 9, 2014 — 과연 여러분들이 좋아하시는 패스트푸드는 몇위에 랭크되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저는 버거킹이 젤로 좋습니다. 와퍼찡 사랑행!) 1위 맥도날드. 휴..
패스트푸드 인기 순위 (햄버거, 샌드위치 통합 브랜드 순위) – 연평균 매출 랭킹, 햄버거 순위
- Source: Youtube
- Views: 60539
- Date: 8 minute ago
- Download: 98074
- Likes: 2309
- Dislikes: 9
패스트푸드 순위 Top 10
안녕하세요. 로바토입니다.
오늘의 Top 10은 여러분들이 아주 좋아하시는 바로 전세계의 패스트푸드 랭킹입니다.
2014년도 기준 자료이고, 전세계를 기준입니다.
과연 여러분들이 좋아하시는 패스트푸드는 몇위에 랭크되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저는 버거킹이 젤로 좋습니다. 와퍼찡 사랑행!)
1위 맥도날드
휴…압도적인 차이로 맥도날드가 1위입니다. (가장 아래 보시면 도표 있습니다.)
하긴 패스트푸드 라는 말을 만든 브랜드이니까요. 1위에 랭크된것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모든 햄버거의 기준처럼, 빅맥보다 크다, 가격이 비싸다 싸다..이런식으로 애기하고, 빅맥지수라고 경제적인 용어도 만들어낸 브랜드이니까요.
한국에서도 유일하게 살아남은 햄버거 브랜드라고 생각합니다.
(웬디지는 아주 옛날에 사라졌고, 파파이스도 거의 안보이고, 버거킹마저 요즘 보기힘드니까요,남은건 무적의 롯데리아 밖에..ㅋㅋ)
저는 요즘에는 1955버거에 푹빠져서 맥도날드가면 무조건 이것만 먹내요.
아무튼 1위는 바로 패스트푸드 그자체인 맥도날드입니다.
2위 스타벅스
휴..보기만해도 벌써 가슴이 뛰는 브랜드입니다. 바로 스타벅스가 2위에 랭크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커피만 마시는데, 미국에서는 스타벅스에서 샌드위치나 요기거리도 많이 사드십니다.
그래서 패스트푸드 카테고리에 들어있다고 생각됩니다.
스타벅스를 보니 예전에 뉴욕에서 생활할때, 있었던 재미있는 추억이 생각이 나네요.
미국 스타벅스는 어떤 커피를 사던지 다 드시고, 그 스타벅스 컵에 아메리카노를 리필해줍니다.
자기가 샀던 그 매장이 아니여도, 스타벅스면 다 리필해줍니다.
그래서 저도 돈아낄라고, 아침에 꼭 커피사서 마시고, 점심시간에 밥먹고 다시 커피 리필해서 마시고 이랬는데,
공짜 좋아하면 탈난다고, 결국 위염생겨서…-.-
그리고 나중에 알았지만, 미국에서도 스타벅스는 비싸서, 그냥 던킨이나 맥도날드 커피 마시면 가격이 절반도 안되기때문에,
나중에는 그냥 그쪽으로 바꿨습니다.(갑자기 지금도 위에 조금 아파오는듯….)
3위 서브웨이
아~ 그리운 서브웨이! 한국에서는 귀족 패스트푸드인 서브웨가 3위입니다.
말그대로 한국에서는 드시는 분들만 드시죠. 맛을 떠나서, 다른 패스트 푸드와 비교했을때 양도 적고, 가격도 비싸니까요.
하지만 미국에서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맥도날드도, 버거킹도, 그리고 서브웨이도 다 점심메뉴는 5달러니까요.
그리고 양은 더 많다고 할수 있습니다. 롱풋으로 사면 둘이서 먹어도 충분하니까요.
그리고 서브웨이는 들어가는 야채와 소스를 매번 바꿀수 있으니까요. 정말…질리지도 않고 계속 먹을수 있습니다.
야채 다 넣고, 랜치에 허니 머스타드 소스 넣어 먹으면 정말….호로록!
4위 KFC
한국에서는 거의 있는듯 없는듯 한 KFC가 4위에 랭크되었내요.
예전에 징거버거가 완전 히트친 이후로 특별히 기억에 남는 메뉴가 없는걸 보면 정말 이젠 존재감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이 KFC는 일본에서는 엄청 인기가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일본에는 한국처럼 후라이드 치킨이나 양념치킨이 없으니까요.
닭튀김먹고 싶다, 그러면 그냥 무조건 KFC라고 보시면 됩니다.
(뉴욕에서 일본친구들이랑 파티할때 닭튀김 먹고 싶다고 해서, 한인타운에 양념치킨 사가지고 가서, 정말…정말! 인기 스타 됬습니다. ㅋㅋ)
그리고 중국에서도 肯德基라는 이름으로 가장 인기있는 패스트 푸드입니다.
일본과 중국에서의 정말 극단적인 인기에 힘입어서 4위에 랭크된거 같습니다.
5위 피자헛
피자업체 중에서는 유일하게 Top 10안에 랭크되었습니다.
역시나 한국에서는 요즘 별로 인기가 없다고 할수 있습니다.
한국산 마스터피자도 있고, 의외로 도미노도 싸고 맛있으니까요.
하지만 피자헛은 피자브랜드의 상징과 같은 브랜드이니까요. 시간이 지나도 그것은 변함이 없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가끔식 피자헛 피자가 그리울때도 있구요.
(하지만 항상 샐러드바 에서 배채우고 피자나오면 싸가죠..-.-)
6위 치폴레 (Chipotle)
아마도 한국분들에게는 생소한 브랜드라고 생각됩니다.
위의 로고에 씌여진대로 멕시칸 그릴 패스트푸드점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아마 부리또 라는 음식은 들어보셨을겁니다. 어떻게 보면 멕시칸 스타일 패스트푸드데, 요 부리또가 맛있기로 유명한 곳이 바로 치롤레입니다.
아마도 한국분들 입맛에도 정말 딱 맛는 매콥한 맛이니까요. 미국놀러가시면 꼭 한번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아참 가끔 커리앤더(고수,팍치,칭차이) 넣어주는데도 있으니까 넣지말라고 하세요.)
부리또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사진 첨부합니다. ^^
7위 팀홀튼 (tim hortons)
캐나다에서 엄청 잘나가는 브랜드 바로 팀홀튼이 7위에 랭크되었습니다.
간단하게 도넛류부터 치킨스튜나 샌트위치까지 파는 패스트푸드입니다.
정말 캐나다 가면 눈돌리면 무조건 보이는게 팀홀튼 이라고 생각하실정도 많이 있고, 사랑받는 브랜드입니다.
가격도 아주 저렴해서, 도넛은 1달러 안하구요, 커피류도 2-3달러, 베이글루는 2달러 정도입니다.
캐나다 가시는 분들 잊지마시고 꼭 들려보세요. 팀홀튼!
8위 파네라 (Panera)
왜 유럽만 빵으로 유명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미국도 유명한 빵집 체인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8위에 랭크된 파네라 입니다.
진짜 엄청 맛있습니다. 그냥 뭘 먹은지도 모르게 게눈감추듯이 먹어버리는 마력이 있는 빵집이죠
그리고 한국에서는 보지도 못한 여러가지 빵종류가 있구요.
저는 특히 그 뭐냐..이탈리아 요리집가면 빵가운데 파서 스파게티 넣는 메뉴 같은 게 있습니다.
스파게티대신에 스튜가 들어가 있는데, 정말 스튜먹고 나중에 스튜가 잘 흡수된 빵찢어 먹으면…..츠흡..정말 호로록 입니다.
[로바토의 영듣법] 듣기만 하는 영문법, 정말 듣기만 하면 돼니?9위 웬디즈
제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먹은 햄버거 바로 웬디즈 입니다.
저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친구나 형님들이 한국에도 옛날에는 웬디즈가 있었다고 합니다.
미국에서 먹어보고 왜 없어진지는 모를정도로 저는 정말 맛있었습니다.
특히 모든 메뉴에서 패티를 2장을 할지 3장을 할지 고를수 있어서, 저는 3장 까지 넣어서 먹어보았습니다.
정말…하나먹고 배터지는줄 알았다는.ㅋㅋ
그리고 웬디즈는 셀러드가 맛있기로 유명해서 미국분들은 버거보다는 셀러드 많이 드시는거 같았습니다.
저는 햄버거집에서 절대 셀러드 안먹는다는.ㅋㅋ
10위 버거킹
드디어 나왔내요.왜 안나오는 노심초사 기다렸는데, 이제서야 나오내요
제기준에 1위인 햄버거의 왕! 바로 버거킹입니다.
정말 메뉴 하나가지고 이렇게 롱런하는 브랜드도 없을꺼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한국에서도 매 분기마다 새로운 버거를 선보이는데, 다들 결국 하는 말이 그냥 와퍼가 최고다 라는 거내요.
제 개인적인 생각도 걍 치즈와퍼에 사이즈업해서 어니언링으로 교환해서 먹는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가격은 훨씬 비싸지지만,
그리고 참고로 미국에서는 와버랑 빅맥이랑 가격차이가 없습니다. 한국은 버거킹이 비싸지만,
그리고 필리핀에서는 정말 신기하게, 와버가 빅맥보다 쌉니다.
그래서 필리핀 생활할때 일주일에 3번은 먹은거 같내요. ^^v
위의 도표는 Top 10 선정의 근거자료입니다.
위에 보시면 알겠지만, 결국 패스트푸드는 그냥 맥도날드인거 같습니다.
정말 전세계 없는 곳이 없으니까요.
휴…정말 지난번 필리핀 쇼핑리스트 Top 10처럼 엄청 배가 고프게 하는 포스트였습니다.
지금이라도 당장 버거킹가서 한 와퍼 하고 싶내요.ㅋㅋ
그럼 다음에는 더욱더 재미있는 Top 10으로 찾아 뵙도록하겠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패스트 푸드 순위 top 10
Papa John ‘s는 미국에서 4 번째로 큰 피자 배달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총 34 개국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파파 존스 (Papa John ‘s)의 4000 개 레스토랑 중 3200 개가 미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설립자 존 슈나 터 (John Schnatter)는 1984 년 인디애나에서 파파존스 피자 (Papa John ‘s Pizza)의 첫 번째 레스토랑을 오픈했습니다. “더 나은 재료와(Better ingredients), 더 나은 피자(Better pizza)”는 Papa John의 피자 서비스의 슬로건입니다.
이 글로벌 햄버거 서비스 체인에는 전세계 79 개국에 13000 개의 레스토랑이 있습니다. 그것은 United Sates에서 세 번째로 큰 버거 체인 서비스입니다. 매일 약 1 백만 명의 사람들이 전세계의 햄버거 매장을 방문합니다. 허퍼 샌드위치는 1957 년에 소개된 버거 킹의 대표적인 제품입니다. 버거 킹 (Burger King)의 판매량은 전 세계에서 매일 매일 약 1 백 9 십만 발의 러퍼 샌드위치를 판매합니다.
데어리 퀸 Dairy Queen은 1940 년 John Fremont McCullough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첫 번째 데어리 퀸 Dairy Queen 매장은 일리노이 주 졸리 엣 (Joliet)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데어리 퀸 의 대표 제품 입니다. 회사 로고에도 등장했습니다. DQ 매장에서는 햄버거, 감자 튀김, 가공된 프라이드 치킨, 냉동 식품 및 핫도그를 제공합니다.
26 thg 3, 2018 — 세상에서 가장 큰 패스트푸드 순위 10 · 10 파파존스 피자 Papa John’s Pizza · 09 데어리 퀸 Dairy Queen · 08 던킨 도너츠 Dunkin ‘Donuts · 07 도미노 피자 …
- Source: zranking.tistory.com
- Views: 74363
- Publish date: 32 minute ago
- Downloads: 31018
- Likes: 4251
- Dislikes: 6
- Title Website: 세계에서 가장 큰 패스트 푸드 순위 top 10
- Description Website: 26 thg 3, 2018 — 세상에서 가장 큰 패스트푸드 순위 10 · 10 파파존스 피자 Papa John’s Pizza · 09 데어리 퀸 Dairy Queen · 08 던킨 도너츠 Dunkin ‘Donuts · 07 도미노 피자 …
햄버거 브랜드 인기 순위 TOP 7
- Source: Youtube
- Views: 54554
- Date: 10 minute ago
- Download: 43712
- Likes: 681
- Dislikes: 5
세계에서 가장 큰 패스트 푸드 순위 top 10
세계에서 가장 큰 패스트 푸드 순위 top 10
세상에서 가장 큰 패스트푸드 순위 10
여행하는 동안 마음 속에 떠오르는 주요한 한가지는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느냐 입니다. 고맙게도 전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McDonald, KFC, Starbucks 및 Domino ‘s Pizza와 같은 패스트 푸드 서비스가 있습니다. 다음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10 가지 패스트 푸드 서비스입니다.
10 파파존스 피자 Papa John’s Pizza
파파 존스
Papa John ‘s는 미국에서 4 번째로 큰 피자 배달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총 34 개국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파파 존스 (Papa John ‘s)의 4000 개 레스토랑 중 3200 개가 미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설립자 존 슈나 터 (John Schnatter)는 1984 년 인디애나에서 파파존스 피자 (Papa John ‘s Pizza)의 첫 번째 레스토랑을 오픈했습니다. “더 나은 재료와(Better ingredients), 더 나은 피자(Better pizza)”는 Papa John의 피자 서비스의 슬로건입니다.
2002 년에 Papa John ‘s는 온라인 주문 시설을 갖춘 미국 최초의 피자체인 서비스가 되었습니다. 오늘날 파파 존스 (Papa John ‘s)에서 근무하는 205,000 명이 넘는 직원이 있으며 순 매출은 14 억 달러입니다.
09 데어리 퀸 Dairy Queen
데어리 퀸
데어리 퀸 서비스는 전 세계 6,000 곳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제품 퀸은 미국 이외의 18 개국에서 영업합니다. 텍사스주는 가장 많은 수의 데어리 퀸 Dairy Queen 레스토랑 (600 개 레스토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데어리 퀸 Dairy Queen은 1940 년 John Fremont McCullough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첫 번째 데어리 퀸 Dairy Queen 매장은 일리노이 주 졸리 엣 (Joliet)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데어리 퀸 의 대표 제품 입니다. 회사 로고에도 등장했습니다. DQ 매장에서는 햄버거, 감자 튀김, 가공된 프라이드 치킨, 냉동 식품 및 핫도그를 제공합니다.
08 던킨 도너츠 Dunkin ‘Donuts
던킨 도너츠
던킨 도너츠는 3 개국에서 운영되며 총 11000 개의 레스토랑을 운영합니다. 회사는 주로 구운 식품 및 커피 서비스에 중점을 둡니다. 구운 음식, 뜨거운 음료 및 아이스 음료, 샌드위치 및 청량 음료는 던킨 도너츠 Dunkin ‘Donuts의 주요 제품입니다.
던킨 도너츠 Dunkin ‘Donut의 최초 매장은 1950 년 미국 매사추세츠 주 Quincy시에 오픈했습니다.’American run on Dunkin’은 2006 년 이래로 회사의 슬로건입니다. 현재 던킨 도너츠 Dunkin’Donuts는 수천가지 커피를 제공하며 2012년 이후에 펩시 콜라에서 코카 콜라로 회사를 옮겨갔습니다.
07 도미노 피자 Domino’s Pizza
도미노 피자
도미노의 피자는 우리에게 두 번째로 큰 피자 배달 서비스입니다. 첫 번째는 Pizza hut입니다. 이 회사는 70 개국에 걸쳐 총 10000 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도미노의 피자는 매장 위치에 따라 다양한 크러스트 스타일로 제공됩니다. 빵 그릇, 파스타 및 오웬 구운 샌드위치는 도미노 메뉴의 다른 주요 제품입니다.
음료 섹션에서 도미노는 코카콜라 제품을 판매합니다. 미국에는 수천 개의 점포가 있지만, 매주 도미노의 피자 배달 드라이버는 수백만 마일을 여행합니다. 수퍼 보울 선데이 (Super Bowl Sunday)는 수백만 개의 피자를 배달하는 도미노 (Domino ‘s)의 가장 바쁜 하루입니다.
06 버거 킹 BURGERKING
버거 킹
이 글로벌 햄버거 서비스 체인에는 전세계 79 개국에 13000 개의 레스토랑이 있습니다. 그것은 United Sates에서 세 번째로 큰 버거 체인 서비스입니다. 매일 약 1 백만 명의 사람들이 전세계의 햄버거 매장을 방문합니다. 허퍼 샌드위치는 1957 년에 소개된 버거 킹의 대표적인 제품입니다. 버거 킹 (Burger King)의 판매량은 전 세계에서 매일 매일 약 1 백 9 십만 발의 러퍼 샌드위치를 판매합니다.
05 스타 벅스 STARBUCKS
가장 큰 쇠지레 사슬
시애틀을 기반으로 하는 스타 벅스는 세계에서 가장 큰 커피 회사입니다. 스타벅스 Starbucks는 64 개국 23187 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 12973개는 미국에 위치해 있습니다. 스타 벅스는 차가운 & 뜨거운 음료, 와인, 맥주 및 스낵을 제공합니다. 스타 벅스는 고객을 위해 87000 종류의 음료를 제공합니다.
스타벅스 Starbucks 는 1971 년 Jerry Baldwin, Gordon Bowker 및 Zev Siegl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흥미롭게도 1987 년 이래 스타 벅스는 매일 최소한 2 개의 신규 점포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서비스를 위해 연간 9,300 만 갤론의 우유와 23 억 개의 종이 컵을 사용합니다.
04 피자헛 PIZZA HUT
피자 헛
피자 헛은 세계에서 가장 큰 피자 배달 서비스입니다. 미국 자체에는 6000 개의 레스토랑이 있고 다른 93 개 국가에는 5139 개의 상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캔자스시에있는 Dan과 Frank Carney에 의해 1958 년에 설립되었습니다.
2001년도에 피자헛이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국제 우주 정거장에 피자를 배달하는 최초의 회사가 되었습니다. 매년 피자 헛은 3 억 6 천만 갤런의 우유에서 3 억 파운드의 치즈를 사용합니다.
03 서브웨이 SUBWAY
지하철
지하철 퀵 푸드 서비스는 107 개국에서 운영되며 총 42174 개의 레스토랑이 있습니다. 서브마린 샌드위치와 샐러드는 서브웨이의 주요 제품입니다.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서브웨이 샌드위치 옵션은 3 천 8 백만 개입니다. 매일 760 만 개의 샌드위치를 제공합니다. 실제로, 서브웨이는 14 번 동안 지구를 덮을 수 있는 충분한 샌드위치를 1 년 내에 만듭니다.
서브마린 샌드위치는 서브웨이의 상징적인 제품입니다. 그러나 서비스의 제품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로스트 치킨, 참치, 서브웨이 클럽, 서브웨이 멜트, 치킨 데리야끼는 서브웨이에서 인기있는 제품입니다.
02 KFC
KFC
KFC 또는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레스토랑 체인입니다. 그것은 1930 년 켄터키에서 Harland Sanders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Harland Sanders의 이미지는 KFC의 광고 및 로고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현재 KFC는 118 개국에 18875 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KFC는 미국에서만 매일 약 800 만 고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KFC의 간판 제품인 압력을 넣어 튀긴 닭고기 조각의 요리법은 여전히 바깥 세상에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은 켄터키 주의 루이빌에 있는 금고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KFC는 90분 안에 팔리지 않은 치킨 조각들을 버리도록 하여 집니다. KFC의 메뉴에 있는 주요 상품들에는 치킨 버거, 팝콘 치킨 그리고 다양한 핑거 푸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01 맥도날드 MCDONALD
맥도날드
맥도날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패스트 푸드 체인 입니다. 이 먹이 사슬은 119 개국에 걸쳐 총 35000 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매일 약 6800 만 고객이 맥도날드를 방문합니다. 그것은 영국의 전체 인구보다 큽니다.
햄버거는 맥도날드의 대표 제품입니다. 이 회사는 매초마다 75 개의 햄버거를 판매합니다. 치킨 샌드위치, 프렌치 프라이, 디저트 및 청량 음료가 맥도날드의 다른 주요 제품입니다 .
맬도날드 McDonald의 사업은 1940 년 캘리포니아의 San Bernadino에있는 Richard와 Maurice McDonald ‘s가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맥도날드는 170 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로벌 식량 사슬은 또한 수많은 엔터테인먼트 회사와 제휴하여 장난감을 판매하는 최대 유통 업체 가되었습니다.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가맹점 평균 매출 순위 – 피터린치 미니 …
피자는 배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도미노가 1위(7억4800만원)를 지키고 있다. 눈에 띄는 것은 피자헛의 부활이다. 매출이 2015년 4억8000만원에서 7억1700만원으로 크게 늘면서 2위를 차지했다. 피자헛 관계자는 “그동안 오프라인 레스토랑을 줄이고 배달, 테이크아웃 위주로 사업을 재편했다”고 말했다. 이어 파파존스(4억5200만원), 반올림피자(4억2200만원), 피자알볼로(4억700만원) 등의 순이다. 2015년 3위(4억5000만원)였던 미스터피자는 매출이 3억4900만원으로 줄면서 6위로 떨어졌다.
치킨 프랜차이즈의 경우 가맹점 수는 1위 BBQ, 2위 BHC, 3위 교촌치킨 순이지만, 매출은 교촌(6억5300만원)이 압도적인 1위였다. 4년 전(4억5000만원)에 비해 2억원(44%)이 늘었다. 이어 BBQ(5억7800만원), 60계(5억2700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맹점 수 2위인 BHC는 4억3500만원에 그쳤다. 4년 전 교촌, BBQ와 함께 매출 ‘빅3’를 이뤘던 호식이두마리치킨은 오너 리스크 등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추락하며 매출이 3억5000만원에서 2억4000만원으로 줄었다.
패스트푸드는 KFC(9억9100만원)와 버거킹(9억8100만원)이 1, 2위에 올랐다. 이어 롯데리아(6억7700만원), 서브웨이(6억3300만원), 퀴즈노스(2억5500만원) 등의 순이었다. 미국의 샌드위치 브랜드 서브웨이는 3.3㎡당 매출이 2600만원으로 롯데리아(1300만원)의 2배, KFC(1700만원)의 1.5배였다. 글로벌 브랜드들이 높은 매출을 올린 가운데 국내 브랜드인 롯데리아는 2015년(7억4000만원)보다 매출이 줄었다. 맥도날드는 가맹 사업을 접어 자료에서 제외됐다.
29 thg 4, 2021 — 패스트푸드는 KFC(9억9100만원)와 버거킹(9억8100만원)이 1, 2위에 올랐다. 이어 롯데리아(6억7700만원), 서브웨이(6억3300만원), 퀴즈노스(2억5500만원) …
- Source: m.dcinside.com
- Views: 35114
- Publish date: 6 hours ago
- Downloads: 87297
- Likes: 4045
- Dislikes: 5
- Title Website: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가맹점 평균 매출 순위 – 피터린치 미니 …
- Description Website: 29 thg 4, 2021 — 패스트푸드는 KFC(9억9100만원)와 버거킹(9억8100만원)이 1, 2위에 올랐다. 이어 롯데리아(6억7700만원), 서브웨이(6억3300만원), 퀴즈노스(2억5500만원) …
매장수가 가장 많은 패스트푸드 브랜드
- Source: Youtube
- Views: 59169
- Date: 25 minute ago
- Download: 90841
- Likes: 2170
- Dislikes: 1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가맹점 평균 매출 순위
(이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전국 7092개 프랜차이즈에서 제출받은 정보 공개 원자료를 본지가 국회 정무위원회 유의동 의원실과 함께 분석한 내용이다.)
원본 기사: https://www.chosun.com/economy/2021/04/06/XZ2SUHMC6FH5BFG6QXF5ZUUPOI/
국내 영업 중인 프랜차이즈의 가맹점 연평균 매출(2019년 기준)을 따져보니, 상위 1·2위 업체와 하위 업체 간의 매출 차이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1위는 GS25(편의점), 교촌치킨(치킨), 도미노피자(피자), 투썸플레이스(커피 전문점), KFC(패스트푸드), 파리바게뜨(제과제빵) 등이었다. 또 가맹점 수가 많다고 점포당 매출이 높은 것은 아니었다.
◇편의점 대전의 승자는 GS25
GS25는 가맹점 평균 매출이 6억6500만원으로 편의점 업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미니스톱(5억9000만원), CU(5억9000만원), 세븐일레븐(4억8200만원), 이마트24(4억700만원), 씨스페이스(2억6100만원) 등의 순이다. 3.3㎡당 평균 매출의 경우 1위는 GS25(3100만원)였지만, 2위는 CU(2700만원)였다.
전국 기차역에 있는 스토리웨이의 가맹점당 매출은 2015년 7억2000만원에서 2019년 2억300만원으로 크게 줄었다. 코레일 측은 “2019년부터 스토리웨이를 직영화하면서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교촌치킨, 4년 새 매출 1.5배 늘어
치킨 프랜차이즈의 경우 가맹점 수는 1위 BBQ, 2위 BHC, 3위 교촌치킨 순이지만, 매출은 교촌(6억5300만원)이 압도적인 1위였다. 4년 전(4억5000만원)에 비해 2억원(44%)이 늘었다. 이어 BBQ(5억7800만원), 60계(5억2700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맹점 수 2위인 BHC는 4억3500만원에 그쳤다. 4년 전 교촌, BBQ와 함께 매출 ‘빅3’를 이뤘던 호식이두마리치킨은 오너 리스크 등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추락하며 매출이 3억5000만원에서 2억4000만원으로 줄었다.
가맹점 수가 1000곳이 넘는 7대 브랜드 중에서 처갓집양념치킨(2억1600만원), 페리카나(1억2100만원), 네네(1억9100만원)는 매출액이 크게 뒤처졌다. 업계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치킨 업계는 오래된 브랜드가 힘이 빠지고 60계, 아웃닭 등 새로운 브랜드들이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3.3㎡당 매출은 BBQ(4300만원), 교촌(3500만원), 60계(3200만원), BHC(2300만원) 등의 순서였다.
◇3.3㎡당 매출, 빽다방이 투썸플레이스 2배
커피 전문점은 투썸플레이스(5억4500만원)가 1위였다. 이어 커피빈(5억4500만원), 파스쿠찌(3억9300만원), 할리스(3억7800만원), 탐앤탐스(3억2500만원), 빽다방(3억2500만원) 등의 순이다. 2015년 5억9000만원으로 1위였던 커피빈은 매출이 줄며 투썸플레이스에 1위를 내줬다. 스타벅스는 가맹점을 두지 않아 제외됐다. 백종원씨가 운영하는 빽다방은 3.3㎡당 매출이 2500만원으로 투썸(1200만원)의 2배가 넘었다.
엔제리너스(2억8100만원), 카페베네(1억9600만원)는 규모에 비해 매출이 적었다. 저가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이디야는 2억1700만원이었다. 커피베이, 토프레소 등은 연 매출이 1억원에 못 미쳤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와 격차 벌려
제과점은 1위 파리바게뜨와 2위 뚜레쥬르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파리바게뜨는 2015년 6억4000만원에서 2019년 6억6600만원으로 매출이 늘어난 반면, 뚜레쥬르는 4억7000만원에서 4억6300만원으로 줄었다.
2015년 1억5000만원에 그쳤던 던킨은 4년 만에 매출(2억8800만원)을 2배 가까이로 불렸다. 업계 관계자는 “도넛 수요가 줄자 간판에서 ‘도너츠’를 빼고 커피와 다양한 아침 메뉴를 선보이며 변신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피자헛’의 부활
피자는 배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도미노가 1위(7억4800만원)를 지키고 있다. 눈에 띄는 것은 피자헛의 부활이다. 매출이 2015년 4억8000만원에서 7억1700만원으로 크게 늘면서 2위를 차지했다. 피자헛 관계자는 “그동안 오프라인 레스토랑을 줄이고 배달, 테이크아웃 위주로 사업을 재편했다”고 말했다. 이어 파파존스(4억5200만원), 반올림피자(4억2200만원), 피자알볼로(4억700만원) 등의 순이다. 2015년 3위(4억5000만원)였던 미스터피자는 매출이 3억4900만원으로 줄면서 6위로 떨어졌다.
◇패스트푸드는 KFC와 버거킹 2강 체제
패스트푸드는 KFC(9억9100만원)와 버거킹(9억8100만원)이 1, 2위에 올랐다. 이어 롯데리아(6억7700만원), 서브웨이(6억3300만원), 퀴즈노스(2억5500만원) 등의 순이었다. 미국의 샌드위치 브랜드 서브웨이는 3.3㎡당 매출이 2600만원으로 롯데리아(1300만원)의 2배, KFC(1700만원)의 1.5배였다. 글로벌 브랜드들이 높은 매출을 올린 가운데 국내 브랜드인 롯데리아는 2015년(7억4000만원)보다 매출이 줄었다. 맥도날드는 가맹 사업을 접어 자료에서 제외됐다.
◇스쿨푸드 평균 매출액 7억 돌파
분식은 스쿨푸드가 7억65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분식으로 유일하게 7억원을 넘겼다. 바르다김선생은 3억9700만원, 청년다방 3억6600만원, 국수나무 2억3100만원, 죠스떡볶이 2억2500만원이었다. 이삭토스트는 가맹점은 800곳이 넘지만 매출은 1억4500만원이었다. 세탁 프랜차이즈는 크린토피아가 매출이 가장 많았지만 1억원 수준에 불과했다.
—–
햄버거를 좋아하기도 하고 요즘 자주 먹다가 코로나 기간에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들 상황이 궁금하여 찾아보았습니다.
맥도날드는 가맹 사업을 중단하고 정보공개를 하지 않는다고 하여 위의 기사에서는 제외되었지만 최근 공개한 매출을 아래에 따로 적었습니다.
파파이스는 국내사업 철수했습니다. 모든 지점, 폐점을 했습니다.
—–
2020년 프랜차이즈 매출과 순이익
KFC
KFC 코리아는 지난해 1974억46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5.9% 줄어든 수준이다.
KFC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7억74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이 40억 원에 육박했던 2019년과 비교해 80.3% 급감했다. 당기순손실도 28억5000만 원을 기록했다. 전년도 9억8400만 원 손실에서 적자 폭이 크게 불어났다.
롯데리아
롯데리아를 운영하는 롯데GRS의 작년 매출은 6831억3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8.7%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194억89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213억 원 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에서 적자 전환한 것이다. 롯데GRS가 영업 적자를 기록한 것은 2015년 이후 5년 만이다.
당기순이익도 적자로 돌아섰다. 2019년 68억 원대의 이익에서 지난해 334억4300만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맘스터치
맘스터치는 매출이 소폭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2853억82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83억5700만 원으로 30.8%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296억3300만 원으로 191.4% 급증했다.
버거킹
BKR(비케이알)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버거킹 매출은 5713억68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3.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81억7900만 원으로 54.9% 급감했다. 당기순손실은 43억5200만 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맥도날드
한국 맥도날드는 가맹점을 포함한 매출은 9,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했고, 가맹점을 제외한 한국맥도날드만의 지난해 매출은 7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1% 늘었다.
—–
맥도날드
한국 맥도날드는 가맹점을 포함한 매출은 9,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했고, 가맹점을 제외한 한국맥도날드만의 지난해 매출은 7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1% 늘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드라이브스루인 ‘맥드라이브’와 배달 ‘맥딜리버리’ 이용이 증가한 영향이다. 지난해 맥드라이브 매출은 전년 대비 23%, 맥딜리버리 매출은 36% 성장했다.
출처 : 시장경제(http://www.meconomynews.com)
맥도날드는 배달 사업도 계속 해왔고 지점을 신중하게 늘리기 때문에 피해도 크지 않았다고 보입니다. 대표도 바뀐 영향도 좀 있다고 보입니다. 예전에 빵이 바뀌었나? 생각이 들었는데 대표가 바뀐 걸 나중에 알았습니다. 최근엔 맥런치도 다시 부활하고 쿠폰도 자주 나눠주더군요.
최근에는 스타벅스가 부동산과 관련하여 말이 많이 나오는 기업이지만 맥도날드야 말로 부동산 전략으로 가장 유명하죠.
스타벅스는 현금 유동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돈이 묶일 수가 있는 부동산을 직접 매입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임대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스타벅스가 입점하는 건물은 유동인구가 많아지고 가치가 오르기 때문에 좋은 조건으로 장기계약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최근 파운더라는 영화가 나오면서도 알게 된 분들이 많죠. 맥도날드는 직접 부동산을 매입하고 가맹점주에게 임대를 주는 방식입니다. 가맹점주는 적은 비용으로 창업을 할 수 있게 되고 맥도날드는 임대료와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죠. 그래서 맥도날드는 신중하게 지점을 늘리는 것 같습니다. 맥도날드는 임대료 수익이 로열티 수익의 2배가 될 정도입니다.
—
패스트푸드 업계에 정통한 한 관계자의 말이 귀에 맴돕니다. “롯데리아, 버거킹, KFC 등 브랜드들 모두 임대료 부담을 안고 있는데도 출점을 확대하고 있는데 맥도날드만 가맹사업을 접고 폐점이 잇따르는 데에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 이선애 기자 [email protected]
—
2018년 맥도날드는 임대료가 너무 높거나 수익성이 낮은 지점들을 폐점 했습니다. 반면에 다른 브랜드들은 계속 출점을 늘렸다고 하는데 당시의 결정이 코로나 시기에 영향이 있었다고 봅니다.
맥도날드, 맘스터치를 제외한 KFC, 롯데리아, 버거킹 모두 적자전환이 되었고 적자폭도 크게 증가했죠.
맥도날드가 맛이 없다고 약간은 깔보이기도 하지만 저는 익숙한 맛이라 신메뉴가 나오거나 가끔 익숙한 맛이 그리울 때 갑니다. 빅맥의 피클 맛이나 더블 치즈 버거의 짠 맛이 생각날 때가 있어요.
신메뉴 필레오 피쉬 버거는 개인적으로는 만족 했는데 싱거운 맛 때문에 맥도날드랑 어울리는 것 같지가 않아서 인기는 없을 것 같네요.
맘스터치
맘스터치는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아서 크게 관심은 없지만…
사모펀드가 인수를 한 후 경영 참여를 하면서 공격적으로 점포수를 늘렸고 20평 이하의 배달 전문 점포들도 늘리면서 현재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중 최다 점포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배달 매장을 많이 늘렸고 기존 매장들도 중소매장이 많아 임대료나 인건비 부담도 적었을 것 같습니다.
마케팅도 적극적으로 하면서 관심도 끌고 원가도 절감하고 가격도 올리고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으로 잘하고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가성비의 이미지도 없어졌고 신메뉴도 마음에 안들고 제로콜라도 없어서 안갑니다…
신메뉴 먹어봤는데 패티 2개 들은 것은 버거킹 스태커 따라한건지 모르겠으나 너무 오바 같고 마늘치킨, 양념치킨 버거도 별로…
신메뉴들 내는 족족 단종되는 이유를 먹으면 알겠어요. 무엇을 내도 싸이버거를 못이기는 맘스터치…
롯데리아
코로나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롯데리아 아닐까 싶습니다.
롯데리아는 이미 점포 숫자에 비해 인기가 별로 없었고 마케팅도 적극적이지 않고 배달에도 그렇게 친화적이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배달은 다 했지만 배달과 관련한 이벤트도 적었고 다른 프랜차이즈처럼 쿠폰 마케팅 같은 것도 거의 없었습니다. 자주 먹는다고 멤버쉽 리워드가 있는 것도 아니었고요.
그냥 점포를 생활에 밀접한 곳곳에 뿌려 놓고 지나가는 김에 또는 장을 보는 김에 사거나 했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에 홈플러스에도 맥도날드 매장이 좀 있었다고 하는데 롯데리아 매장으로 바뀌면서 방문객이 확 줄었다는 기사도 있네요. 저는 홈플러스 들르는 김에 사거나 다른 프랜차이즈 배달이 너무 밀렸거나 하면 시키거나 합니다… 아니면 신메뉴 맛보고 싶어서 정도?
롯데리아 매장은 요즘 없으면 오히려 이상한 제로 칼로리 콜라가 거의 없습니다. 펩시 제로 주는 곳도 있다고 하는데 직접 가봐도 없고 배달로도 없더군요. 이것만으로도 이미 트렌드에 늦고 고객을 잃는 것 같네요. 19년도 글에서도 알바생들이 매일 제로콜라 없냐는 질문만 지겹게 받는다고 하는데 여전히 크게 다르지 않으니…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은 좋지만 그 때문에 자주 찾을 일은 없는 느낌입니다.
신메뉴인 치즈 NO.5는 나쁘진 않으나 풍미보다 느끼함이 크게 느껴짐. 또 먹진 않을 듯.
버거킹
버거킹은 조금 늦기는 했으나 배달 사업도 뛰어들고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할인 행사도 하고 이벤트도 많이 해왔던 것 같습니다. 신메뉴도 자주 출시하기도 했죠.
문제는 비슷한 방식을 계속 가져가다 보니까 신메뉴가 어설프게 만들어지는 것 같고 예전에 만들었던 메뉴를 대충 섞어서 신메뉴라고 출시하는 것 같은 느낌이 많이 듭니다. 신메뉴에 대한 기대감도 상당히 줄어들고 신메뉴라고 나오면 일단 ‘대충 또 스까버거 만들고 비싸게 팔겠구나’ 라는 생각만 듭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 맛있는 버거는 버거킹이라는 이미지가 있어서 계속 잘되는 것 같습니다.
마케팅을 잘하고 이목을 끄는 광고나 상품들로 대박을 여러번 치기는 했는데 슬슬 그대로 비슷한 방식으로 끌고가기는 한계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제 보니 맘스터치가 버거킹이 했던 것들을 좀 따라가는 것 같네요.
기본 메뉴를 더 강화하고 가격을 올려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합니다… 요즘 모든 프랜차이즈가 기존 메뉴에 소홀한 게 있는 듯…
몬스터 버거 때까지는 좋았는데 그 이후는 별로인 것 같습니다. 최근에 가본 매장마다 기본 메뉴들이 다 별로 였던 것 같은데 입맛이 변한건지 매장 문제인건지 모르겠습니다.
KFC
어릴 때는 KFC버켓을 가득 채운 치킨들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지금의 이미지는 이미 튀겨 놓은 눅눅한 치킨 이미지만 있죠. 대한민국의 치킨은 발전했는데 KFC는 안좋은 방향으로 한결같다 랄까… 물론 새로나온 치킨 메뉴들은 나름 괜찮습니다. 다만 치킨 전문 브랜드와 비교해서는 떨어지긴 하죠.
개인적으로 KFC를 좋아하는데 기존 햄버거 메뉴들 품질이 잘 지켜지고 있다는 느낌이 있어서 같습니다. 다른 프랜차이즈 치킨버거들이 다 수준이 낮아져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신메뉴는 좀 호불호가 강하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업그레이비 버거는 채소도 없어서 너무 느끼하고 무거워 한국 사람들 스타일이 아닌 것 같고 그레이비 소스도 크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비슷한 류로 징거더블 같은 혈관 파괴버거는 아직도 사먹는 한국 사람이 있나 궁금합니다.
코스트 헌터 버거는 최근 나온 모든 프랜차이즈 버거 중에서 제일 난 것 같습니다. KFC는 신메뉴가 실패해도 기존 메뉴들이 괜찮아서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코울슬로도 언제나 좋음.
KFC도 멤버쉽 마케팅을 하면서 자주 먹는 사람들 쿠폰도 잘 주고 행사도 많이 하니까 주기적으로 가기 좋더라고요.
치킨쪽은 블랙라벨이니 뭐니 복잡하게 만들지 말고 질을 올려서 메뉴 통합을 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식은 치킨은 이제 한국에 발 디딜 곳 없는, 시대가 원하지 않는 치킨 아닐까요?
각 프랜차이즈 갤러리를 살펴보면 KFC 갤러리가 생각보다 활발하고 매니아들이 있는 것 같음.
아 그리고 KFC 껍질튀김 바이럴 마케팅 의혹이 있었는데 그런 마케팅 할 능력이 없는 것 같음. 사실이라면 실망스런 사건이겠지만 그런 마케팅 능력이 있었다면 계속 잘 했겠죠?
—
물론 오늘 점심은 노브랜드 버거 먹었습니다.
노브랜드 버거에 대한 정보를 조금 추가하자면
신세계푸드에 따르면 노브랜드 버거는 내달까지 15개 이상 매장을 추가로 열 예정이다. 성수기인 3월부터는 10개 이상씩 늘려 올해 연말까지 70~80개 매장을 확보할 계획 중이다.
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8월 9일 ~ 11월8일 12개 채널 22만개 사이트 대상 빅데이터 분석)
올해 가맹 방식으로 매장을 많이 늘린다고 하니까 더 많은 사람들이 접해볼 수 있을 것 같음. 문을 닫은 타사 점포에 들어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음.
빅데이터 분석에서는 호감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일단 매장도 적고 벌여 놓은게 없어서 부정평가가 비교적 없을 수 있다고 봄.
가격대비 만족스럽기는 함.
소비자들의 수요가 점점 다양해지니 패스트푸드 시장에도 중소 브랜드들이 많이 생길 것 같습니다.
피자도 대형 브랜드들이 주춤한 사이 중소 브랜드나 개인 매장들의 경쟁력이 커졌죠. 햄버거도 수제버거 매장이 많아지던데 선택권이 많아지면 좋겠네요.
—
순전히 개인적인 취향과 경험에 기반하여 쓴 글입니다.
어투가 바뀌는 것은 일하다가 조금씩 쓰기 때문입니다.
귀찮아서 일단 빨리 올리려고 생각나는 대로 썼는데 추후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 Top 50
순위 기업명 카테고리 미국 매출 (단위:십억$) 1 McDonald’s 맥도날드 Burger $40.41 2 Starbucks 스타벅스 Snack $21.55 3 Chick-fil-A 칙필라 Chicken $11.00 4 Taco Bell 타코벨 Global $11.00 5 Burger King 버거킹 Burger $10.30 6 Subway 서브웨이 Sandwich $10.00 7 Wendy’s 웬디스 Burger $9.87 8 Dunkin’ 던킨도넛츠 Snack $9.22 9 Domino’s 도미노피자 Pizza $7.10 10 Panera Bread 파네라브레드 Sandwich $5.93
41 Moe’s Global $0.79 42 Papa Murphy’s Pizza $0.75 43 McAlister’s Deli Sandwich $0.72 44 Jason’s Deli Sandwich $0.71 45 Church’s Chicken Chicken $0.70 46 Shake Shack 셰이크셱 Burger $0.63 47 Marco’s Pizza Pizza $0.63 48 Baskin-Robbins 베스킨라빈스 Snack $0.63 49 Tropical Smoothie Café Snack $0.58 50 Auntie Anne’s 앤티앤 Snack $0.56
11 Chipotle 치폴레 Global $5.52 12 Pizza Hut 피자헛 Pizza $5.38 13 KFC 케이에프씨 Chicken $4.82 14 Sonic Drive-In Burger $4.69 15 Arby’s Sandwich $3.89 16 Little Caesars Pizza $3.85 17 Panda Express 팬더익스프레스 Global $3.80 18 Dairy Queen Snack $3.76 19 Popeyes Louisiana Kitchen 파파이스 Chicken $3.75 20 Jack in the Box Burger $3.51
29 thg 9, 2020 — 이 패스트푸드 대기업들은 어떻게 서로 경쟁할 수 있을까? 순위, 기업명, 카테고리, 미국 매출 (단위:십억$). 1, McDonald’s 맥도날드, Burger, $40.41.
- Source: usant.tistory.com
- Views: 5026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67509
- Likes: 5003
- Dislikes: 1
- Title Website: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 Top 50
- Description Website: 29 thg 9, 2020 — 이 패스트푸드 대기업들은 어떻게 서로 경쟁할 수 있을까? 순위, 기업명, 카테고리, 미국 매출 (단위:십억$). 1, McDonald’s 맥도날드, Burger, $40.41.
2022 세계 패스트푸드 체인점 매장 수 순위 탑10
- Source: Youtube
- Views: 44834
- Date: 24 hours ago
- Download: 30062
- Likes: 4834
- Dislikes: 10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 Top 50
스타벅스 vs 맥도날드
선요약 : 1위 맥도날드, 2위 스타벅스, 3위 칙필라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매일 패스트푸드점에서 식사를 하고 있으며, 이제 그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선택권을 갖게 되었다.
버거부터 팟타이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식욕을 만족시킬 수 있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이 있다. 이 모든 선택과 함께,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은 무엇인가?
2019년 패스트푸드 순위 _ 출처:visual capitalist
오늘 인포그래픽은 QSR 매거진의 데이터를 활용해 2019년 매출 기준으로 미국 내 50대 패스트푸드 체인점의 순위를 매겨 미국인들이 갈망해 온 음식의 종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매출 기준 패스트푸드 체인점 순위
2019년, 미국에서 가장 큰 50개의 패스트푸드 체인점들은 2,00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했다. 이 패스트푸드 대기업들은 어떻게 서로 경쟁할 수 있을까?
순위 기업명 카테고리 미국 매출 (단위:십억$) 1 McDonald’s 맥도날드 Burger $40.41 2 Starbucks 스타벅스 Snack $21.55 3 Chick-fil-A 칙필라 Chicken $11.00 4 Taco Bell 타코벨 Global $11.00 5 Burger King 버거킹 Burger $10.30 6 Subway 서브웨이 Sandwich $10.00 7 Wendy’s 웬디스 Burger $9.87 8 Dunkin’ 던킨도넛츠 Snack $9.22 9 Domino’s 도미노피자 Pizza $7.10 10 Panera Bread 파네라브레드 Sandwich $5.93
11 Chipotle 치폴레 Global $5.52 12 Pizza Hut 피자헛 Pizza $5.38 13 KFC 케이에프씨 Chicken $4.82 14 Sonic Drive-In Burger $4.69 15 Arby’s Sandwich $3.89 16 Little Caesars Pizza $3.85 17 Panda Express 팬더익스프레스 Global $3.80 18 Dairy Queen Snack $3.76 19 Popeyes Louisiana Kitchen 파파이스 Chicken $3.75 20 Jack in the Box Burger $3.51
21 Papa John’s 파파존스 Pizza $2.66 22 Whataburger Burger $2.56 23 Jimmy John’s Sandwich $2.11 24 Hardee’s 하디스 Burger $2.07 25 Zaxby’s Chicken $1.84 26 Culver’s Burger $1.73 27 Five Guys Burger $1.66 28 Raising Cane’s Chicken $1.47 29 Wingstop Chicken $1.40 30 Carl’s Jr. Burger $1.39
31 Jersey Mike’s Sandwich $1.34 32 Bojangles’ Chicken $1.29 33 In-N-Out Burger 인앤아웃버거 Burger $1.00 34 Steak ‘n Shake Burger $0.93 35 El Pollo Loco Chicken $0.89 36 QDOBA Global $0.85 37 Checkers/Rally’s Burger $0.86 38 Firehouse Subs Sandwich $0.86 39 Del Taco Global $0.85 40 Tim Hortons Sandwich $0.84
41 Moe’s Global $0.79 42 Papa Murphy’s Pizza $0.75 43 McAlister’s Deli Sandwich $0.72 44 Jason’s Deli Sandwich $0.71 45 Church’s Chicken Chicken $0.70 46 Shake Shack 셰이크셱 Burger $0.63 47 Marco’s Pizza Pizza $0.63 48 Baskin-Robbins 베스킨라빈스 Snack $0.63 49 Tropical Smoothie Café Snack $0.58 50 Auntie Anne’s 앤티앤 Snack $0.56
맥도날드는 4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1위를 달리고 있다.
전 CEO와 관련된 스캔들에도 불구하고 맥도널드는 여전히 동종 업체들보다 훨씬 더 많이 팔았다.
맥도널드는 2위의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스타벅스의 거의 두 배를 벌었다.
하지만 그래도 스타벅스는 스스로 잘 해냈다..
21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린 시애틀에 본사를 둔 이 커피 체인점은 2018년에 비해 5%의 증가율을 보였다.
가장 많이 팔리는 패스트푸드 카테고리를 살펴보자.
순위에 따르면, 미국인들이 여전히 맥도날드를 좋아하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햄버거는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품목일까?
역시나 버거는 왕이다. 버거, 피자, 치킨 및 기타 식품 카테고리가 어떻게 순위가 나눠지는지 살펴보자..
2019년 패스트푸드 매출 카테고리 순위 _ 출처:visual capitalist
버거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임에 틀림없다.
목록에 오른 50개의 체인점 중 14개는 햄버거 레스토랑으로 분류되며, 800억 달러의 판매고를 기록하고 있다.
스낵은 총 360억 달러의 수익을 내며 2위에 오른다.
아이스커피부터 도넛, 아이스크림까지 다양한 음식을 자랑하는 6개의 식당이 이 카테고리에 포함된다.
스타벅스가 가장 인기가 많고 던킨과 데어리퀸이 각각 그 뒤를 잇고 있다.
치킨과 샌드위치 범주 모두 순위에 포함된 9개의 레스토랑이 있는 반면,
치킨 레스토랑들은 거의 10억 달러나 샌드위치를 팔았다.
이는 순위에 포함된 전체 치킨집 매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칙필라의 영향이 크다.
이러한 수치는 COVID-19의 파괴적인 영향 이전의 패스트푸드 산업을 반영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세계적인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많은 패스트푸드점들이 적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식당들이 문을 닫게 되었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는 미국 1만4000개 지점 중 200개 지점을 영구 폐쇄할 예정이며
던킨은 2020년 말까지 450개 레스토랑을 폐쇄할 예정이다.
스타벅스는 또한 2021년 중반까지 최대 400개 지점을 영구 폐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온라인 판매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강력한 디지털 입지를 가진 체인점들은 폭풍우를 이겨내기에 더 좋은 위치에 있을 것이다.
드라이브 스루와 같은 물리적 거리 제한 옵션이 있는 체인도 더 빨리 복구할 수 있다.
그럼 일단 알았고,
1,2,3위인 맥도날드, 스타벅스, 칙필라 의 주가를 알아봐야겠다.
1위 맥도날드(MCD): 맥도날드는 시가배당률 2.27%이며, P/E ratio가 34.92로 막 거품이 낀것 같지는 않다.
맥도날드 주가
2위 스타벅스: 스타벅스는 시가배당률 1.91%로, 나름 핀테크 쪽으로 많이 투자를 해서, 앞으로 전망이 좋은것은 확실한데, P/E ratio가 77.74로 좀 프리미엄(=거품)이 낀 것 같다… 하지만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에 그럴지도…
스타벅스 주가
3위 칙필라는 아쉽게도 아직 상장이 안됐다… 암튼 칙필라는 나중에 상장하면 모아가는 것으로 계획해봐야겠다. 한국에 없는 브랜드라서, 한국에도 론칭했으면 좋겠다. 아래는 예전에 썼던 미국 10대 브랜드 선호도에서 1위를 차지한 칙필라 관련글이다.
이전글: 2020 미국 10대 브랜드 선호도 보고서
아무래도 한국보다 외식 브랜드가 다양하기 때문에 , 한국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순위가 좀 다른것 같다. 개인적으로 인앤아웃버거와 칙필라 이런것이 한국에 진출했으면 좋겠다.
스타벅스는 단순히 카페 그 이상으로서, 스타벅스 카드, 드라이브 쓰루 등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것 같다. 위대한 기업이라고 생각된다.
# 본 글은 주식 매수 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본 글에서 거론된 주식의 매수,매도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결과 또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美, 지난해 패스트푸드 매출 1위 맥도날드 375억 달러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전문매체 QSR매거진은 지난해 미국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매출 순위 50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2위인 스타벅스 매출(132억 달러)의 2배 이상(375억 달러)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했다.
50위권에서 버거 업체는 총 14개이며, 1위인 맥도날드부터 버거킹이 총 4위, 웬디스가 93억 달러를 기록해 6위를 차지했다. 그 외 소닉 드라이브인, 잭인더박스(35억 달러), 하디스(22억 달러) 등이 순위에 포함됐다.
칙필레(90억 달러)가 순위에 오른 9개의 치킨 업체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으며, 그 뒤를 KFC(44억 달러), 파파이스(32억 달러) 등이 따랐다.
17 thg 8, 2018 —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전문매체 QSR매거진은 지난해 미국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매출 순위 50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2위인 스타벅스 …
- Source: www.foodbank.co.kr
- Views: 82705
- Publish date: 11 minute ago
- Downloads: 25467
- Likes: 2342
- Dislikes: 6
- Title Website: 美, 지난해 패스트푸드 매출 1위 맥도날드 375억 달러
- Description Website: 17 thg 8, 2018 —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전문매체 QSR매거진은 지난해 미국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매출 순위 50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2위인 스타벅스 …
살아있는 패스트푸드 백과사전
- Source: Youtube
- Views: 71242
- Date: 29 minute ago
- Download: 39829
- Likes: 3013
- Dislikes: 7
美, 지난해 패스트푸드 매출 1위 맥도날드 375억 달러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전문매체 QSR매거진은 지난해 미국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매출 순위 50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2위인 스타벅스 매출(132억 달러)의 2배 이상(375억 달러)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했다.
그 뒤를 이어 서브웨이(108억 달러), 버거킹(100억 달러), 타코벨(98억 달러)이 연달아 3, 4, 5위를 기록했다.
50위권에서 버거 업체는 총 14개이며, 1위인 맥도날드부터 버거킹이 총 4위, 웬디스가 93억 달러를 기록해 6위를 차지했다. 그 외 소닉 드라이브인, 잭인더박스(35억 달러), 하디스(22억 달러) 등이 순위에 포함됐다.
칙필레(90억 달러)가 순위에 오른 9개의 치킨 업체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으며, 그 뒤를 KFC(44억 달러), 파파이스(32억 달러) 등이 따랐다.
피자 업체는 도미노 피자(59억 달러), 피자헛(55억 달러) 등 총 6개 업체가 순위에 올랐으며, 그 외 샌드위치, 에스닉 푸드 업체들이 순위에 포함됐다.
각 품목별 상위 업체들은 맥도날드, KFC, 도미노피자, 서브웨이 등 한국에도 있는 업체들이 주를 이뤘다.
지난해 미국 패스트푸드 매출 50 순위 일부 캡처본. 사진=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전문매체 QSR매거진 제공
저작권자 © 식품외식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패스트 푸드 순위
Bing에서 패스트 푸드 순위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패스트 푸드 순위.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패스트 푸드 순위 한국 패스트푸드 순위, 패스트푸드 종류, 미국 패스트푸드 순위, 패스트푸드 문제점, 패스트푸드 브랜드, 인기 프랜차이즈, 정크푸드, 체인점 창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