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yển tới nội dung
Trang chủ » 톱 255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새로운 업데이트 69 시간 전

톱 255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새로운 업데이트 69 시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evnhongphuc.com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17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예시, 콜버그 도덕발달이론의 한계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성 발달이론 정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7단계, 도덕성 발달교육, 도덕 6단계, 길리건 도덕발달이론

콜버그(Kohlberg) 도덕성 발달단계
  • 도덕성 발달 1단계 :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 도덕성 발달 2단계 :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도덕성
  • 도덕성 발달 3단계 : 대인관계 조화를 위한 도덕성
  • 도덕성 발달 4단계 : 법과 질서 준수로서의 도덕성

콜버그(Kohlberg) 도덕성 발달단계

콜버그(Kohlberg)는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롤즈(Rawl s)의 정의론에 토대를 두고, 듀이(J. Dewey)의 민주주의와 교육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 발달단계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도덕성을 도덕적 추론능력(reasoning)으로 정의하고, 도덕적 갈등 상황(Heinz’s dilemma)을 설정하여, 제시된 답안의 사고체계(추론과정)를 바탕으로 도덕성 발달과정을 설명하였다. 특히 도덕성 발달에 관하여 주로 아동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던 피아제(Piaget)의 이론을 발전시켜서 성인에까지 확대하 여 도덕성 발달단계를 3 수준 6단계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중 3 단계는 대인관계에서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객체화)의 단계로, 도덕적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자의 행위를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평가하느냐 에 따라 결정된다. 즉,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인정받거나 그들을 만족시키는 행위가 옳은 행위이며, 도덕적 행위란 타인이 칭찬하는 행위가 된다. 그래서 이 단계를 ‘착한 아이(good boy)의 도덕성’이라고 하며, 청소년 의 도덕성, 여성들의 도덕성이라고도 한다.

한 남자의 아내가 죽어가고 있다. 아내를 살릴 수 있는 약이 있지만 너무 비싸고, 약사는 싼 가격에는 약을 팔려고 하지 않는다. 남자는 아내를 위해 하는 수 없이 약을 훔쳤다. 남자는 정당한 일을 하였는가?

– 따뜻한 우정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주로 실용적 관점에서 해석. 도덕성 발달 단계 2수준 – 인습 수준 conventional level

  • Source: adipo.tistory.com
  • Views: 38019
  • Publish date: 43 minute ago
  • Downloads: 98259
  • Likes: 6207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콜버그(Kohlberg) 도덕성 발달단계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77562
  • Date: 19 minute ago
  • Download: 89788
  • Likes: 5388
  • Dislikes: 8

콜버그(Kohlberg) 도덕성 발달단계

반응형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

– 여러 갈등 상황을 통해 분석한 도덕성 발달 단계의 전체적인 양상을 모두 6단계로 나눠서 설명.

– 이 6단계는 다시 3수준으로 나뉨. 도덕성 발달 단계 1수준 – 인습 이전 수준 pre-conventional level

– 도덕성 발달 1단계, 2단계

01. 도덕성 발달 1단계 :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 도덕성 발달의 첫 수준.

– 아동에게는 행위의 결과가 벌인지 칭찬인지, 또는 행위를 강요하는 사람이 누구인가가 선악을 판별하는 주요 준거.

– 아동에게는 벌을 피한다든가 권력에 무조건 복종하는 자체가 가치 있음.

02. 도덕성 발달 2단계 :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도덕성

– 자신의 필요나 욕구, 경우에 따라 다른 사람의 필요나 욕굴를 충족시켜주는 행위면 옳다고 판단.

– 이 시기의 인간 관계는 일종의 교환 단계.

– 따뜻한 우정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주로 실용적 관점에서 해석. 도덕성 발달 단계 2수준 – 인습 수준 conventional level

– 도덕성 발달 3단계, 4단계

03. 도덕성 발달 3단계 : 대인관계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

– 대부분의 성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생각.

– 내가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해주는 행위를 하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인정해 줄 것이라 여겨 그것을 좋은 일이라 판단.

04. 도덕성 발달 4단계 : 법과 질서 준수로서의 도덕성

– 개인적인 문제보다 전체를 위한 의무감을 더욱 중요시 여김.

– 주어진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는 행동이 나타남. 도덕성 발달 단계 3수준 – 인습 이후 수준 post-conventional level

– 도덕성 발달 5단계, 6단계

05. 도덕성 발달 5단계 : 사회 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

– 법적 관점이 중시되나 여기에서는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합리적 고려에 따라 법이 바뀔 수도 있다는 것 또한 중시됨.

06. 도덕성 발달 6단계 : 보편적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

– 스스로 선택한 도덕 원리에 따라 양심적인 행위가 곧 올바른 행위.

– 도덕 원리는 논리적이고 일관성이 있어야 함.

–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해야 함.

– 그러나 극소수의 사람만 이 단계를 거침.

Q 20.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비추어 볼 때, 다음 상황에 대한 아동의 대답이 해당하는 발달단계는?

<상 황>

한 남자의 아내가 죽어가고 있다. 아내를 살릴 수 있는 약이 있지만 너무 비싸고, 약사는 싼 가격에는 약을 팔려고 하지 않는다. 남자는 아내를 위해 하는 수 없이 약을 훔쳤다. 남자는 정당한 일을 하였는가?

<아동의 대답>

“나는 찬성한다. 좋은 남편은 아내를 잘 돌보아야 하기 때문에 사랑하는 아내를 살리기 위한 이러한 행위는 정당하다.”

① 1단계: 복종과 처벌 지향

② 2단계: 개인적 쾌락주의

③ 3단계: 착한 소년/소녀 지향

④ 4단계: 사회질서와 권위 지향

【해설】 정답 ③

콜버그(Kohlberg)는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롤즈(Rawl s)의 정의론에 토대를 두고, 듀이(J. Dewey)의 민주주의와 교육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 발달단계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도덕성을 도덕적 추론능력(reasoning)으로 정의하고, 도덕적 갈등 상황(Heinz’s dilemma)을 설정하여, 제시된 답안의 사고체계(추론과정)를 바탕으로 도덕성 발달과정을 설명하였다. 특히 도덕성 발달에 관하여 주로 아동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던 피아제(Piaget)의 이론을 발전시켜서 성인에까지 확대하 여 도덕성 발달단계를 3 수준 6단계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중 3 단계는 대인관계에서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객체화)의 단계로, 도덕적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자의 행위를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평가하느냐 에 따라 결정된다. 즉,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인정받거나 그들을 만족시키는 행위가 옳은 행위이며, 도덕적 행위란 타인이 칭찬하는 행위가 된다. 그래서 이 단계를 ‘착한 아이(good boy)의 도덕성’이라고 하며, 청소년 의 도덕성, 여성들의 도덕성이라고도 한다.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여기에서 인지구조란 인간이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며,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말한다.) 발달의 계열성 (Developemental sequence)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이 단계에 따라 일어난다는 관점이다. 이 견해에 의하면 발달성으로 초기이고, 덜 복잡한 낮은 단계는 보다 높은 단계를 위한 필수적인 선행조건이다.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이 단계에 따라 일어난다는 관점이다. 이 견해에 의하면 발달성으로 초기이고, 덜 복잡한 낮은 단계는 보다 높은 단계를 위한 필수적인 선행조건이다. 상호 작용주의 (Interactionism) : 개인의 도덕발달은 유기체(인간)와 환경간의 상호관계에 기초한다.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는 장 피아제의 관습발달이론을 도덕성 발달에 적용시켜 미국의 심리학자 로렌스 콜버그가 제시한 인간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말한다. 전관습수준, 관습수준, 후관습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는 장 피아제의 관습발달이론을 도덕성 발달에 적용시켜 미국의 심리학자 로렌스 콜버그가 제시한 …

  • Source: ko.wikipedia.org
  • Views: 49981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45326
  • Likes: 3967
  • Dislikes: 1
  • Title Website: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Description Website: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는 장 피아제의 관습발달이론을 도덕성 발달에 적용시켜 미국의 심리학자 로렌스 콜버그가 제시한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콜버그(L Kohlberg) (1) 도덕성 발달 단계 이론 3수준 6단계

  • Source: Youtube
  • Views: 105620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38611
  • Likes: 7585
  • Dislikes: 2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는 장 피아제의 관습발달이론을 도덕성 발달에 적용시켜 미국의 심리학자 로렌스 콜버그가 제시한 인간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말한다. 전관습수준, 관습수준, 후관습수준으로 분류하였다.

기본적인 개념 [ 편집 ]

구조적 조직(Structual organization)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여기에서 인지구조란 인간이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며,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말한다.)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여기에서 인지구조란 인간이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며,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말한다.) 발달의 계열성 (Developemental sequence)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이 단계에 따라 일어난다는 관점이다. 이 견해에 의하면 발달성으로 초기이고, 덜 복잡한 낮은 단계는 보다 높은 단계를 위한 필수적인 선행조건이다.

: 개인의 인지구조 발달이 단계에 따라 일어난다는 관점이다. 이 견해에 의하면 발달성으로 초기이고, 덜 복잡한 낮은 단계는 보다 높은 단계를 위한 필수적인 선행조건이다. 상호 작용주의 (Interactionism) : 개인의 도덕발달은 유기체(인간)와 환경간의 상호관계에 기초한다.

도덕성 발달 단계 [ 편집 ]

제1수준 : 전 관습적 수준 (Pre-conventional level) 1단계 : 벌과 복종의 단계 (Obedience and punishment orientation)

복종과 처벌이 판단의 기준이된다. 처벌을 피하기 위해 고의로 도덕적 행위를 한다.

2단계 : 도구적 목적과 교환의 단계 (Self-interest orientation)

자신의 욕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지 없는지가 도덕적 판단의 기준

제2수준 : 관습적 수준 (Conventional level)

3단계 : 개인간의 상응적 기대, 관계, 동조의 단계, 착한 소년, 소녀(Interpersonal accord and conformity)

대인관계의 조화를위한 도덕성 옳은 행동은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기대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다.

4단계 : 사회체제와 양심보존의 단계 (Authority and social order obedience driven)

옳은 행동이란 사회질서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다.

제3수준 : 후 관습적 수준 (Post-conventional level) 5단계 : 권리 우선과 사회계약, 혹은 유용성의 단계(Social contract orientation)

사회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 법과 질서가 무조건 옳은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유용성에 따라 합의에 이르게 되면 바뀔 수 있다.

6단계 : 보편윤리적 원리의 단계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도덕적 원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한 양심적인 행위가 올바른 행위라고 본다.

[정신간호] 콜버그(Kohlberg) 이론/도덕성발달이론 – 네이버 블로그

2. 하인즈의 이야기에서 무조건 착한 것이 도덕적인 것은 아니고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도덕적 판단을 해야한다고 말하였다.

1. 인간의 도덕성을 나눈 것에 의의. 도덕성의 높고 낮음을 구분하였음.

25 thg 1, 2020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발전시킨 것이다. · ‘하인즈의 딜레마’ · 도덕적 사고를 3개의 수준과 6단계로 …

  • Source: m.blog.naver.com
  • Views: 16057
  • Publish date: 50 minute ago
  • Downloads: 54756
  • Likes: 117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정신간호] 콜버그(Kohlberg) 이론/도덕성발달이론 – 네이버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25 thg 1, 2020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발전시킨 것이다. · ‘하인즈의 딜레마’ · 도덕적 사고를 3개의 수준과 6단계로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콜버그 도덕발달이론 1편 (Kohlberg Moral Development Episode 1)

  • Source: Youtube
  • Views: 4977
  • Date: 60 minute ago
  • Download: 75795
  • Likes: 8233
  • Dislikes: 7

[정신간호] 콜버그(Kohlberg) 이론/도덕성발달이론

1. 인간의 도덕성을 나눈 것에 의의. 도덕성의 높고 낮음을 구분하였음.

2. 하인즈의 이야기에서 무조건 착한 것이 도덕적인 것은 아니고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도덕적 판단을 해야한다고 말하였다.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특징과 교육에의 시사점 …

콜버그는 사람들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도덕문제에 있어서 어떻게 답하는가에 따라 인간의 사고체계를 크게 6가지의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했다. 즉 서로 차이가 있는 문화적 배경을 가지 다른 연령의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도덕적 행위의 동기’와 ‘인간 생명의 가치’ 등 도덕성의 문제를 담고 있는 ‘도덕적 딜레마’를 들려주고 그런 상태에서 ‘어떻게 하겠는가?’,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를 물었다.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대한 응답자들의 응답을 ①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②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도덕성, ③ 대인 관계에서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 ④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 ⑤ 사회 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 ⑥ 보편적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의 6가지의 단계적 체계로 분류하여 이것이 각 개인이 처해있는 문화적 배경이나 환경과는 상관없이 연령에 따른 도덕적 발달의 단계에서 공통적인 부분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이러한 행위적 가치체계 하에서의 사회적 규범이 통용된다면 만약 어떤 사람이 물건을 손상시켰을 때 이에 대한 처벌과 보상에 대한 사회적 판단은 물건의 가격에 따라 벌의 경중이 결정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만약 어떤 개인이 사회적 규범에 어긋나는 절도행각이나 뇌물 공여, 혹은 공금 횡령 등을 범했을 때 이들의 행위가 들키지 않고 제대로 해내거나 붙잡히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당한 행위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도덕적 쾌락주의‘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인도주의적인 도덕성이나 상대에 대한 진정성 있는 감정이입 등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단계의 도덕적 사고체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신의를 지킨다든가 혹은 상대의 호의에 대해서 감사의 마음을 가진다든가, 일의 전개와 처리에 있어서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서 노력한다든가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단계이다.

콜버그에 의하면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의 단계는 아동이나 청소년에 있어서 매우 단순한 물리적이거나 신체적인 힘에 대한 복종이 도덕적인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서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라는 명제는 적자생존의 힘의 원리가 작용하는 가종 초보적인 단계의 도덕적 원리로서 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행동은 권력과 힘에 대한 복종을 받아들이고 힘으로부터 신체적이고 물리적인 벌을 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아동이나 청소년은 그들의 행동이 어떠한 결과와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어떤 가치판단을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전혀 상관하지 않는다. 단순히 물리적이고 신체적인 벌을 피하고 힘을 가진 권력에 복종하는 것 자체로서의 가치에 순응하게 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이 단계에 있어서 도덕적 원리는 벌이나 권력의 힘의 논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단계이다.

16 thg 12, 2017 — 콜버그는 인습 수준의 도덕성의 단계에서는 각 개인이 개인의 욕구 충족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가정이나 사회, 집단이나 국가의 기대에 부응하는 …

  • Source: baro.kr
  • Views: 73555
  • Publish date: 2 hours ago
  • Downloads: 83458
  • Likes: 2183
  • Dislikes: 6
  • Title Website: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특징과 교육에의 시사점 …
  • Description Website: 16 thg 12, 2017 — 콜버그는 인습 수준의 도덕성의 단계에서는 각 개인이 개인의 욕구 충족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가정이나 사회, 집단이나 국가의 기대에 부응하는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EBS 아이의 사생활 제2부 도덕성 –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

  • Source: Youtube
  • Views: 47676
  • Date: 4 minute ago
  • Download: 37493
  • Likes: 8453
  • Dislikes: 10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특징과 교육에의 시사점에 대하여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특징과 교육에의 시사점에 대하여

바로코리아(오정삼)

<목차> 1. 서론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설의 특징과 개요 2. 인습 이전 수준의 도덕성(preconventional morality)의 단계 3. 인습 수준의 도덕성(conventional morality)의 단계 4. 인습 이후 수준의 도덕성(post conventional morality)의 단계 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 서론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설의 특징과 개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성은 피아제가 주로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도덕성 발달단계설을 전개한 것에 반하여 그 발전의 단계를 성인의 단계까지 확장하여 발달 단계를 체계화시킨 것이다. 콜버그에 의하면 사람은 단순히 ‘정직한 사람’과 ‘거짓말 잘하는 사람’ 등으로 구분해서 비교할 수 없는 존재로서 이러한 단순한 비교구분은 인간에 대한 도덕성의 발달과정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는 인간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우리에게 상당히 유의미한 새로운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콜버그는 사람들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도덕문제에 있어서 어떻게 답하는가에 따라 인간의 사고체계를 크게 6가지의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했다. 즉 서로 차이가 있는 문화적 배경을 가지 다른 연령의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도덕적 행위의 동기’와 ‘인간 생명의 가치’ 등 도덕성의 문제를 담고 있는 ‘도덕적 딜레마’를 들려주고 그런 상태에서 ‘어떻게 하겠는가?’,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를 물었다.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대한 응답자들의 응답을 ①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②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도덕성, ③ 대인 관계에서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 ④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 ⑤ 사회 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 ⑥ 보편적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의 6가지의 단계적 체계로 분류하여 이것이 각 개인이 처해있는 문화적 배경이나 환경과는 상관없이 연령에 따른 도덕적 발달의 단계에서 공통적인 부분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콜버그가 제시한 각 단계의 도덕성은 개인이 매 상황에서 발생하는 어떤 중요한 도덕적 결정을 합리화할 수 있는 사고체계들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각 단계에서 더 높은 단계의 도덕성으로 발전할수록 개인의 사고체계는 더욱 광범위한 도덕적 기준과 가치를 포함하게 되고 보다 복잡한 추상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통해서 개인의 감정이 이입되어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일반 원리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으로서 민주사회가 가지고 있는 동작원리와 비슷한 도덕적 발달 단계를 표현하고 있다.

2. 인습 이전 수준의 도덕성(preconventional morality)의 단계

콜버그가 주장하는 이 단계의 도덕성은 이 수준의 아동이나 청소년들이 그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도덕적 규칙이나 윤리적 선악의 개념은 인식하고 있으나, 이러한 개념들이 쾌락적 결과나 강요된 도덕적 규칙이 힘이나 권력에 의해서 재해석되는 단계를 말하며 이 단계는 다시 ①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의 단계와 ② 욕구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2.1.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의 단계

콜버그에 의하면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의 단계는 아동이나 청소년에 있어서 매우 단순한 물리적이거나 신체적인 힘에 대한 복종이 도덕적인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서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라는 명제는 적자생존의 힘의 원리가 작용하는 가종 초보적인 단계의 도덕적 원리로서 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행동은 권력과 힘에 대한 복종을 받아들이고 힘으로부터 신체적이고 물리적인 벌을 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아동이나 청소년은 그들의 행동이 어떠한 결과와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어떤 가치판단을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전혀 상관하지 않는다. 단순히 물리적이고 신체적인 벌을 피하고 힘을 가진 권력에 복종하는 것 자체로서의 가치에 순응하게 되는 것이다. 한마디로 이 단계에 있어서 도덕적 원리는 벌이나 권력의 힘의 논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단계이다.

2.2.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는 아동이나 청소년이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욕구와 욕망을 충족하고 그를 위한 행위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즉 자기 자신의 욕구가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단계로서 대표적인 인간관계에서 표출되는 형식은 ‘주고 받기(give and take)’의 인간관계로 표출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관계에서의 상호교환의 관계설정은 실제 내면적으로는 철저히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위로서 가치체계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물론 그 과정에서 관계의 설정은 상호성, 공정성, 분배의 균형 등의 개념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이는 물질적이고 실용적인 차원에서 평가될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행위적 가치체계 하에서의 사회적 규범이 통용된다면 만약 어떤 사람이 물건을 손상시켰을 때 이에 대한 처벌과 보상에 대한 사회적 판단은 물건의 가격에 따라 벌의 경중이 결정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만약 어떤 개인이 사회적 규범에 어긋나는 절도행각이나 뇌물 공여, 혹은 공금 횡령 등을 범했을 때 이들의 행위가 들키지 않고 제대로 해내거나 붙잡히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당한 행위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도덕적 쾌락주의‘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인도주의적인 도덕성이나 상대에 대한 진정성 있는 감정이입 등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단계의 도덕적 사고체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신의를 지킨다든가 혹은 상대의 호의에 대해서 감사의 마음을 가진다든가, 일의 전개와 처리에 있어서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서 노력한다든가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단계이다.

콜버그는 이러한 두 개의 단계를 인습 이전 수준의 도덕성으로 정의함으로써 이 단계의 도덕성의 원리는 철저히 힘의 원리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3. 인습 수준의 도덕성(conventional morality)의 단계

콜버그는 인습 수준의 도덕성의 단계에서는 각 개인이 개인의 욕구 충족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가정이나 사회, 집단이나 국가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 행위수준의 가치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각 개인이 사회나 국가의 질서에 단순히 동조하고 이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발적으로 그것을 충실히 지키려고 노력하며 질서를 유지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섬으로서 자신과 집단, 개인과 국가를 동일시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콜버그는 이 수준의 단계를 다시 ③ 대인 관계에서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의 단계와 ④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3.1. 대인 관계에서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의 단계

이 단계에서는 가치 판단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사회적 조화가 된다. 즉 이 단계에서 개인의 행위는 공동체 내에 속한 타인을 기쁘게 해주고 도와주는 행위가 바로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로 규정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 단계의 행위와 가치판단은 2단계와 같이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한 의미는 사라지고 더욱 포괄적인 사회적 관계를 전제하게 되며 1, 2단계와 같은 자기중심적인 욕구와 욕망에 의존하기 보다는 타인에 대한 감정의 이입이 가능한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각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따른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기여를 생각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단계 역시 매 시기 상황의 전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딜레마에 있어서는 개인의 모든 감정이 문제의 갈등요소를 완전히 해결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이 단계는 앞서 2단계의 경우처럼 남의 물건을 훔칠 수 있는 상황이 나타날 때 자신이 사회적 훔치는 행위가 나쁘다는 사회적 인습을 따름으로써 자신이 마음의 불편함을 피해갈 수 있는 도덕적 판단만을 할 수 있는 단계일 뿐이다. 따라서 3단계의 도덕적 사고는 사회가 인습으로 갖고 있는 독특한 고정 관념을 바탕으로 전개되어가며 상대성이나 다양성이라는 특징은 나타나지 않는다. 단지 자신의 도덕적 행위에 대해서 그가 살고 있는 사회의 고정된 인습을 엄격히 준수하며 자신의 내적 동기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단계인 것이다.

3.2.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의 단계

이 단계에서는 개인이 사회를 지탱해나가는 법과 질서를 인식하게 되고 자신이 딜레마의 상황에 빠지더라도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도덕적 기준과 관례를 알 수 있는 단계이다. 즉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인습이나 의견 등에 의존하기 보다는 오히려 법률과 같은 보다 안전하고 포괄적인 규범적 체계에 의존함으로서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행위기준의 표준적 틀을 제시하고 이것이 각자의 행위를 동일한 표준 하에서 평가하고 척도할 수 있게 해주는 단계이다. 따라서 개인은 현재의 법률이나 질서에 따라 행동하고 이에 일치할 때 자신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적 기준과 엄격한 도덕적 기준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법과 질서가 서로 상반되는 견해를 가지고 충돌할 때, 혹은 법률적 기준이 제시하고 있는 판단의 근거가 애매할 때 이 단계의 도덕적 판단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한 수급자 계층에 대해서 전기를 단전한다면 그들은 굶어죽을 수 있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 책임을 통해서 포괄적이고 시혜적인 판단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 단계에서는 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의 도덕성 판단의 단계는 인습 이후의 높은 단계로 까지 발전해나가야 하는 것이다.

4. 인습 이후 수준의 도덕성(post conventional morality)의 단계

콜버그는 도덕적 가치와 원리는 그 자체로서 타당성과 가치체계를 대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사회적 계약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행위야말로 도덕적 행위가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도덕적 사고의 판단은 아주 복잡하며 포괄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모든 상황의 문제와 행동표현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덕적 원리를 갖게 되고 이들 단계를 다시 ⑤ 사회 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 ⑥ 보편적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4.1. 사회 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

이 단계의 기본 원리는 사회가 제시하는 이상형을 말할 수 있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서 헌법이 최상위 법으로서 모든 법률의 정당성과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5단계의 도덕성의 문제는 단순히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러한 도덕적 규준을 지켜가는 것이 나와 공동체 모두를 위한 규준이 됨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이성적 판단은 서로 대비되는 주장들을 포함하면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배려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사회의 보다 발전된 정의를 위해서 이들 상반되는 주장에 대해서 언제나 열려 있는 자세로 임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이 단계의 모든 도덕적 판단의 근거는 공리주의적 입장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4.2. 보편적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의 단계

이 단계에서의 도덕적 행위의 판단 근거는 개인이 스스로 선택한 도덕적 원리가 곧 양심의 결단과 일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단계의 도덕의 원리는 성문화되어 있는 법률을 뛰어넘는 보편적인 도덕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으로서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호혜성의 원리와 평등의 가치, 나아가 인간 본연의 존엄성의 가치를 추구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6단계의 원리는 모든 사회와 계층, 그리고 문화에 고루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도덕원리로서 이러한 보편 원리는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자유, 평등, 정의 등과 같은 포괄적 개념이어야 한다.

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궁극적인 목표 가운데 하나는 인간 발달을 위한 사회적 협의 실현 및 인간의 지적․정의적․신체적 발달의 지향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간의 발달의 요인 가운데는 생득적인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의 출생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나 문화의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개인의 발전적인 모습을 형성해나가는 것이다. 이 때 이러한 개인의 발전과 성장을 보장하는 기본적인 기제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인간이 획득하게 되는 특성적 과정과 원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

우리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접하면서 그의 발달이론이 인간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의미를 다루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우리는 피아제의 인지적 발달단계설에서부터 콜버그의 도덕적 발달단계설, 혹은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론에 이르기까지 인간 발달에 관한 각 단계론에 주목하면서 그것이 인간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때 인간발달의 단계성은 교육에 있어서 우선 ‘과업’의 적기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인간은 매시기 그 과업과 학습을 성취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시기적 기회가 있으며 그 시기를 노칠 경우 교육의 효과가 적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 단계의 기초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말하자면 콜버그의 도덕적 발단단계의 각 단계는 궁극적인 발전의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그 이전 단계의 인식적 노력과 수준의 발전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교육은 발달의 누적성을 필요로 한다. 즉 앞 단계의 도덕적 인식 수준의 발달이 미흡할 경우 그 잘못이 누적되어 다음 단계에서도 잘못 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러한 의미는 모든 발달단계가 단속적(斷續的)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계열을 이루면서 발전하고 좀더 심화되고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나간다는 것이다.

넷째, 각 단계의 발달은 불가역성이 존재해서 각 단계에서 성취된 과업은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대한 보충과 교정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각 개인이 애초에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행동변인으로부터 각 단계의 교육적 수준을 잘 이행하고 사회적 규범과 요구를 이해하게 됨으로서 보다 높은 단계의 생명의 가치나 사회발전의 진정한 원리를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이러한 발달이 행동의 내적동기로 승화되어나가는 인간 발달의 과정을 잘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러한 인간발달의 도덕적 단계를 잘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면 올바른 교육과정의 실현을 통해서 보다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인류의 정의와 이상의 실현을 위한 개인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콜버그의 도덕 판단력 발달 단계 – 자스민차향기

피아제는 도덕성 발달 단계를 전도덕성 단계, 타율적 도덕성 단계, 자율적 도덕성 단계의 순으로 3단계로 보았다. 전도덕성 단계는 4세 이하의 아이들로 규칙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단계로서,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이야기할 때 1단계를 제외하고 2단계와 3단계만 다루기도 한다. 콜버그는 피아제가 도덕성의 발달 과정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보았다고 생각하고, 연구대상을 아동에서 성인까지 확대하여 도덕성의 발달 단계를 한층 더 체계화하여 3개의 도덕 수준과 6개의 발달 단계로 정리했다. 또한, 피아제가 자율적 추론을 할 수 있는 12세 정도의 나이가 되어야 도덕적인 성숙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것과는 달리, 도덕적 성숙을 원리에 의한 판단 능력으로 보고, 20대는 되어야 가능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도덕 판단을 측정하기 위한 면접에서 피아제는 양자택일적 판단을 해야 하는 폐쇄형 질문을 사용했지만, 콜버그는 도덕적 갈등에 있는 딜레마 상황을 제시하여 판단하도록 하는 개방형 문항을 사용했다.

4단계에서는 서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끼리도 법으로 유대 관계를 맺고 법으로 사회 전체가 유지되고 각 개인은 법으로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지게 되며, 법에 대해서 한 사람이라도 예외를 허용한다면 사회가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올바른 행위란 기본적인 규칙에 의해 정의되어 의무를 수행하는 행동, 권위를 존경하는 행동, 주어진 사회 질서를 그 자체로서 유지하려는 행동이다. 도덕적으로 옳은 것은 사회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사회 질서를 지키며, 사회의 복지를 유지하는 데 공헌하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가 부과하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여긴다.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사회, 집단 또는 자신이 속한 기관을 그 전체로서 유지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제2단계는 자기 자신과 마찬가지로 타인도 같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며 올바른 행위를 그 자신들이 욕망을 충족시키는 행위로 생각하여 인간관계를 일종의 교환관계로 간주한다. 공정성이나 상호성, 공정한 분배 등의 개념이 나타나지만, 실용적인 관점에서 비롯된 행위이다. 행위의 물리적 형태나 결과를 행위의 인간적 필요와 구분하고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한다. 제2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개인주의적 관점이 우세하다. 본인의 흥미, 이익, 관심을 권위자의 것과는 구분을 지을 수 있을 만큼 성숙하여 있고 자기 이득을 위한 수단으로서 남과의 거래를 전개한다. 이때 남에 대한 공정한 규칙 적용을 도덕의 전부인 것처럼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3 thg 1, 2020 — 콜버그(Lawrence Kohlberg)는 도덕을 ‘도덕 판단에 기초를 둔 의사결정’이라고 정의했다. 도덕 발달이란 사회적 선과 악에 대한 가치 규정적 양식이다 …

  • Source: jesusguy.tistory.com
  • Views: 38994
  • Publish date: 18 hours ago
  • Downloads: 36755
  • Likes: 7291
  • Dislikes: 5
  • Title Website: 콜버그의 도덕 판단력 발달 단계 – 자스민차향기
  • Description Website: 3 thg 1, 2020 — 콜버그(Lawrence Kohlberg)는 도덕을 ‘도덕 판단에 기초를 둔 의사결정’이라고 정의했다. 도덕 발달이란 사회적 선과 악에 대한 가치 규정적 양식이다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Kohlberg’s 6 Stages of Moral Development

  • Source: Youtube
  • Views: 60554
  • Date: 35 minute ago
  • Download: 38743
  • Likes: 3177
  • Dislikes: 1

콜버그의 도덕 판단력 발달 단계

콜버그(Lawrence Kohlberg)는 도덕을 ‘도덕 판단에 기초를 둔 의사결정’이라고 정의했다. 도덕 발달이란 사회적 선과 악에 대한 가치 규정적 양식이다. 도덕적 갈등상태를 해결하고, 개인에 의해 내면화된 사회적 행위 상의 일련의 문화적 준칙으로 정의하여 기본적인 문화적 준칙을 내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의 성장이라고 했다. 또한, 도덕성을 도덕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성향으로 여겼다.

Lawrence Kohlberg 박사

철학적 측면에서 소크라테스, 플라톤, 칸트, 롤즈 등의 영향을 받았고, 심리학적 측면에서는 도덕 발달 및 판단에 관한 피아제의 인지적 발달과 사고 추리 및 판단의 영향을 받았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과 듀이의 영향을 받아 교실에서 민주적인 대화법을 활용하여 도덕적인 딜레마를 생각하게 하였고, 교육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단계를 지향할 수 있게 했다.

Jean Piaget 박사

피아제는 도덕성 발달 단계를 전도덕성 단계, 타율적 도덕성 단계, 자율적 도덕성 단계의 순으로 3단계로 보았다. 전도덕성 단계는 4세 이하의 아이들로 규칙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단계로서,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이야기할 때 1단계를 제외하고 2단계와 3단계만 다루기도 한다. 콜버그는 피아제가 도덕성의 발달 과정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보았다고 생각하고, 연구대상을 아동에서 성인까지 확대하여 도덕성의 발달 단계를 한층 더 체계화하여 3개의 도덕 수준과 6개의 발달 단계로 정리했다. 또한, 피아제가 자율적 추론을 할 수 있는 12세 정도의 나이가 되어야 도덕적인 성숙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것과는 달리, 도덕적 성숙을 원리에 의한 판단 능력으로 보고, 20대는 되어야 가능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도덕 판단을 측정하기 위한 면접에서 피아제는 양자택일적 판단을 해야 하는 폐쇄형 질문을 사용했지만, 콜버그는 도덕적 갈등에 있는 딜레마 상황을 제시하여 판단하도록 하는 개방형 문항을 사용했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콜버그는 사람들이 도덕적 딜레마에 제시된 주인공의 상황과 행동을 개인적인 사고로 어떻게 해석하는지, 그 상황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대해 어떻게 추리하는지, 주인공의 행동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지, 정의롭다고 생각하는지, 마음에 드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유형을 조사하여 도출된 결과를 도덕적 판단의 6단계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러한 콜버그의 발달 단계에서는 더 높은 단계로 올라가려면 연속적인 순서를 거쳐야 한다고 하면서 위계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도덕성 발달 단계의 특성을 중심으로 콜버그는 3수준을 각각 두 단계로 나누어 총 6단계의 도덕 발달 단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1. 인습 이전 도덕수준

도덕적 규칙이나 선악의 개념은 알고 있으나 인간적 의미나 개인의 내적 수준이 아니라 행위의 쾌락적 결과, 또는 도덕적 규칙을 강요하는 사람의 힘이나 권력에 의해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된다.

가. 1 단계 – 처벌 및 복종 지향 단계

1단계는 도덕적 규칙이 자신을 포함한 사람들이 상호 간에 합의를 본 것임을 깨닫지 못하고 행위의 외부적 결과만으로 도덕적 판단을 하며, 벌이나 고통을 피하려고 명성이나 권위에 대한 자기중심적 복종으로 도덕적 행동을 하는 단계이다. 규칙이 가지고 있는 의도나 그것이 만들어진 동기 또한 전혀 이해하지 못하며 상호관련성도 이해하지 못한다. 제1단계의 도덕성은 자아 중심적 관심이 우세하고 남의 입장은 고려하지 못하여 타인이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없다. 행동의 옳고 그름은 그 행동의 외적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되며 동기나 의도는 고려하지 않는다. 부모나 교사 등 권위자의 견해와 본인의 견해가 분화되어 있지 않다.

나. 2 단계 – 욕구 충족 수단 단계

제2단계는 자기 자신과 마찬가지로 타인도 같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며 올바른 행위를 그 자신들이 욕망을 충족시키는 행위로 생각하여 인간관계를 일종의 교환관계로 간주한다. 공정성이나 상호성, 공정한 분배 등의 개념이 나타나지만, 실용적인 관점에서 비롯된 행위이다. 행위의 물리적 형태나 결과를 행위의 인간적 필요와 구분하고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한다. 제2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개인주의적 관점이 우세하다. 본인의 흥미, 이익, 관심을 권위자의 것과는 구분을 지을 수 있을 만큼 성숙하여 있고 자기 이득을 위한 수단으로서 남과의 거래를 전개한다. 이때 남에 대한 공정한 규칙 적용을 도덕의 전부인 것처럼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2. 인습적 도덕수준

개인이 가정이나 집단 그리고 국가의 기대를 따르는 것은 그것의 즉각적인 결과와는 상관없이 그 자체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인간은 자기 기대나 사회의 질서에 단순히 동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충실히 따르고자 하며 질서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여 정당화하고 그 질서에 관련된 개인이나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한다.

가. 3 단계 – 대인관계 조화 단계

3단계에서 올바른 행위는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해주고 도와주는 행위이므로 타인이 승인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갖는 어떤 생각과 기대를 다른 사람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그런 이유로 다른 사람들의 비난이 두려워 도덕적 행위를 하기도 한다. 제3단계에서의 도덕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해 나가기 위한 도덕성을 갖기 때문에 법에 위반되는 행위도 상황에 따라 용서나 정당화될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에서는 사람들이 주변 사람들에 맞추려고 노력한다. 역지사지(易地思之)의 경우도 있으나 아직 추상적인 사고를 못 해서 더 일반화된 타인에 대한 개념과 관심이 생겨나지 못한다.

나. 4 단계 – 사회질서 준수 및 권위 유지 단계

4단계에서는 서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끼리도 법으로 유대 관계를 맺고 법으로 사회 전체가 유지되고 각 개인은 법으로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지게 되며, 법에 대해서 한 사람이라도 예외를 허용한다면 사회가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올바른 행위란 기본적인 규칙에 의해 정의되어 의무를 수행하는 행동, 권위를 존경하는 행동, 주어진 사회 질서를 그 자체로서 유지하려는 행동이다. 도덕적으로 옳은 것은 사회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사회 질서를 지키며, 사회의 복지를 유지하는 데 공헌하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가 부과하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여긴다.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사회, 집단 또는 자신이 속한 기관을 그 전체로서 유지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3. 인습 이후 도덕수준

도덕적 가치나 원리가 가치를 표방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권위 또는 자신과 그 집단과의 유대와는 관계없이 그 자체로서 타당성을 가진다고 생각하는 수준이다. 이 수준은 새롭고 좋은 법을 제정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가. 5 단계 – 사회계약적 원리 지향의 단계

5단계에서의 올바른 행동은 개인의 기본 권리에 비추 모든 사회가 비판적인 합의에 도달한 도덕 기준으로 정의되는 공리주의적 경향이 있다. 개인 가치의 상대성을 인정하면서도 합의하는 방법상의 원리를 강조한다. 법적 관점이 중요시되지만, 법의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합리적 고려에 따라 법도 수정 가능하다는 것 또한 중시한다. 인간은 다양한 가치와 의견을 자기 나름대로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대다수 가치와 규칙은 집단에 따라 상대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집단에 따른 상대적 가치가 그 나름대로 준수될 필요를 인정하되, 사회 계약의 원리에 따라 모든 집단에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대적 가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 가치도 존재함을 제5단계에서 인식하게 한다. 또한,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을 하는 이유는 의무감을 바탕으로 한다. 의무감은 자신과 타인의 권리가 사회 계약적인 규칙을 준수함으로써 최대한 보호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가정, 우정, 신뢰 그리고 직장에서의 업무 등은 모두 사회 계약이란 대 원칙 위에서 해석되어야 하며, 타인의 권리 존중이라는 가치의 준수가 핵심적 관심으로 등장하게 된다.

5단계의 사람들은 사회계약 성립의 취지에 근거해서 사회를 바라본다. 그래서 사회계약, 사회적 합의, 객관적 공평성, 합법적 절차 등의 관점에서 사회적 문제를 통합·정리하려 하고, 도덕적 관점과 법리적 관점에서 사회의 문제를 고려할 줄 알며, 도덕적, 법리적 요소가 서로 갈등하고 있으며, 그것을 조화롭게 해결하는 것이 수월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그래서 이 단계의 사람들은 그 법에 대해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자세로 그 법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법을 지킨다.

나. 6 단계 – 보편적 도덕원리에 대한 확신 단계

6단계에서의 올바른 행위는 스스로 선택한 도덕원리에 따른 양심의 결단으로 행해지며, 도덕원리는 논리적으로 포괄적이고 보편적이며, 일관성 있는 것으로 공정성, 인간권리의 상호성과 평등, 개인으로의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 등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이 지닌 원리를 어기는 데에서 비롯한 자책감에 대한 관심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된다.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는 정의의 보편적 원리, 인권의 평등성, 인간의 존엄성과 같은 보편적 윤리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인간이 옳은 행위를 해야만 하는 이유는 보편적 윤리 원칙이 삶의 원칙으로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사는 것은 보편적 윤리 원칙에 따라 사는 것 자체라고 판단한 것이다.

콜버그는 이상의 여섯 단계에서 상위 단계는 철학적으로 더 우위에 있으며, 위 단계로부터 이동되어야 하는 단계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콜버그가 말하는 성숙한 도덕적 행동은 성숙한 도덕적 사고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말은 도덕적 추리로 생성된 행위만이 오로지 도덕적 영역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올바른 도덕적 행위란 도덕적 지식의 기초 위에서 도덕적 판단을 하고 이 판단에 따른 행위가 이루어졌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신박에듀

인지발달론자 Piaget에 의하면 도덕적 성숙은 모든 사람이 사회적으로 인정된 규칙 아래서 정당하고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된다는데 대한 관심이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의 도덕 발달 이론은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도덕 판단의 단계도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콜버그(Kohlberg)는 Piaget의 도덕 발달이론을 더울 정교화하고 확장시켰습니다. 그러나 그는 Piaget와는 달리 도덕 발달의 수준을 실제적 행동보다 사고능력과 판단 능력으로 구분하려 하였습니다. 그는 도덕적인 문제가 야기되는 곤경 상황(dilemma)에 빠졌을 때 사람이 어떻게 판단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피험자에게 가상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주인공이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도덕적인가를 판단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가상적인 상황에서 생각하고 말하는 것과 실제 행동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는 개개인이 어느 정도로 도덕적이고 비도덕적인가를 규정하는 것보다 어느 수준의 추리 능력을 가지고 있느냐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수준 단계 특징 Ⅰ 수준 (인습 이전 도덕 수준) 1단계 처벌과 복종 지향의 단계 권위자나 강력한 힘에 복종하여 처벌을 피하기 원한다. 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단계 이해관계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이 도덕적 근거가 되어 타인과 공정한 거래를 성립한다. Ⅱ 수준 (인습적 도덕 수준) 3단계 대인 관계의 조화를 위한 단계 인간관계의 조화로 도덕성을 나타내어 다른 사람들로부터 기대되는 역할을 충분히 한다. 4단계 사회질서 및 권위 유지의 단계 올바른 행동으로 의무를 수행하고, 권위를 존중하며 사회질서와 질서유지의 도덕성을 의미한다. Ⅲ 수준 (인습 이후 도덕 수준) 5단계 사회계약적 원리 지향의 단계 기본 권리와 기본가치, 사회의 합법적 계약에 중점을 두어 합리적 계산을 통한 근거에 도덕적 관념을 둔다. 6단계 보편적인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의 단계 보편 윤리적 원리에 의해 도덕적 결정을 내리고 이것이 사회 관습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해도 마땅히 따라야 할 것으로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도덕 판단의 측정 방법의 차이는 피아제는 양자택일(兩者擇一)적 판단을 요하는 폐쇄형의 질문을 면접으로 한 반면, 콜버그(Kohlberg)는 도덕적 갈등에 있는 상황을 제시하여 판단하게 하는 개방형(open-ended)의 문항으로 면접으로 하였습니다. 콜버그(Kohlberg)는 사람들이 도덕적 딜레마에 제시된 주인공의 상황과 행동을 개인적인 사고로 해석하고, 그 상황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대해 추리를 하여 주인공의 행동을 공정한가에 대한 여부와 정의로운가에 대한 여부, 혹은 마음에 드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도출된 결과를 추리 혹은 도덕적 판단의 6단계 유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러한 콜버그 (Kohlberg)의 발달 단계에서 보다 더 높은 단계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순서를 거쳐야 하는 위계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에 따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20 thg 4, 2020 — Ⅰ 수준. (인습 이전 도덕 수준) · 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단계 ; Ⅱ 수준. (인습적 도덕 수준). 3단계. 대인 관계의 조화를 위한 단계 ; Ⅱ 수준. ( …

  • Source: edumon.tistory.com
  • Views: 10993
  • Publish date: 31 minute ago
  • Downloads: 35089
  • Likes: 3910
  • Dislikes: 3
  • Title Website: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신박에듀
  • Description Website: 20 thg 4, 2020 — Ⅰ 수준. (인습 이전 도덕 수준) · 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단계 ; Ⅱ 수준. (인습적 도덕 수준). 3단계. 대인 관계의 조화를 위한 단계 ; Ⅱ 수준. (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심리학 개론] 콜버그 도덕 발달단계

  • Source: Youtube
  • Views: 31332
  • Date: 16 hours ago
  • Download: 21555
  • Likes: 7527
  • Dislikes: 3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가 흔히 도덕적이라고 말할 때 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조금 추상적인 면이 있습니다. 단순하게 남을 돕는 이타적 마음을 지칭하는 것인지, 아니면 인류애적 사랑을 베풀 때 도덕적이라고 할 수 있는지 등 상당히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콜버그는 이러한 도덕성을 위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도덕성 발달이론의 선구자로 불리고 있습니다.

1. 도덕성의 정의

인지발달론자 Piaget에 의하면 도덕적 성숙은 모든 사람이 사회적으로 인정된 규칙 아래서 정당하고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된다는데 대한 관심이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의 도덕 발달 이론은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도덕 판단의 단계도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콜버그(Kohlberg)는 Piaget의 도덕 발달이론을 더울 정교화하고 확장시켰습니다. 그러나 그는 Piaget와는 달리 도덕 발달의 수준을 실제적 행동보다 사고능력과 판단 능력으로 구분하려 하였습니다. 그는 도덕적인 문제가 야기되는 곤경 상황(dilemma)에 빠졌을 때 사람이 어떻게 판단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피험자에게 가상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주인공이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도덕적인가를 판단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가상적인 상황에서 생각하고 말하는 것과 실제 행동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는 개개인이 어느 정도로 도덕적이고 비도덕적인가를 규정하는 것보다 어느 수준의 추리 능력을 가지고 있느냐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Kohlberg)는 도덕이란 ‘도덕 판단에 기초를 둔 의사결정들’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도덕 발달이란 사회적 선과 악에 대한 가치 규정적 양식입니다. 도덕적 갈등상태를 해결하고, 개인에 의해서 내면화된 사회적 행위상의 일련의 문화적 준칙으로 정의하여 기본적인 문화적 준칙을 내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의 성장이라고 하며, 도덕성을 도덕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성 향으로 여겼습니다.

콜버그(Kohlberg)는 철학적인 측면에서는 소크라테스(Socrates), 플라톤 (Platon), 칸트(Kant), 및 롤즈(Rawls)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심리학적인 측면에서는 도덕 발달 및 판단에 관한 장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적 발달과 사고 추리 및 판단의 영향을 받아 크게 발달시켰으며,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크게 인정하며 듀이(Dewey)의 영향을 받아 민주적인 대화의 방법을 학급에 활용함으로써 도덕적인 딜레마를 생각하게 하며 교육을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단계로 지향할 수 있습니다.

콜버그(Kohlberg)는 1955년 종단적 연구와 범문화적 연구를 통해 피아제의 도덕성 이론은 지나치게 단순히 판단한 것이라 보고 연구 대상을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에 까지 확대하여 도덕성의 발달단계를 한층 더 체계화하고 도덕성에 관한 수준과 단계를 다시 정의하고 그 정당성을 주장하였습니다. 피아제의 도덕 단계는 2개의 일반적인 단계인 반면 콜버그(Kohlberg)의 체계는 더욱 분화되어 3개의 도덕 수준과 6개의 발달 단계로 나누어진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피아제의 도덕적 성숙은 12세 정도인 자율적 추론을 할 수 있을 때 이루어지고, 콜버그(Kohlberg)는 도덕적 성숙을 원리에 의한 판단 능력으로 보는 바 이러한 수준은 20대 전후에 가서야 가능하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도덕 판단의 측정 방법의 차이는 피아제는 양자택일(兩者擇一)적 판단을 요하는 폐쇄형의 질문을 면접으로 한 반면, 콜버그(Kohlberg)는 도덕적 갈등에 있는 상황을 제시하여 판단하게 하는 개방형(open-ended)의 문항으로 면접으로 하였습니다. 콜버그(Kohlberg)는 사람들이 도덕적 딜레마에 제시된 주인공의 상황과 행동을 개인적인 사고로 해석하고, 그 상황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 대해 추리를 하여 주인공의 행동을 공정한가에 대한 여부와 정의로운가에 대한 여부, 혹은 마음에 드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도출된 결과를 추리 혹은 도덕적 판단의 6단계 유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러한 콜버그 (Kohlberg)의 발달 단계에서 보다 더 높은 단계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순서를 거쳐야 하는 위계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에 따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인습 이전 도덕 수준(Preconventional Moral Level)

이 수준은 도덕적 규칙이나 선악의 개념은 알고 있으나 인간적 의미나 개인의 내적 수준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행위의 쾌락적 결과, 또는 도덕적 규칙을 강요하는 사람의 힘이나 권력에 의해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됩니다.

제1단계: 처벌과 복종 지향의 단계(Punishment and Obedience Orientation)

제1단계는 도덕적 규칙이라는 것이 자신을 포함한 사람들 상호 간의 합의에 의한 것임을 깨닫지 못하고 행위의 외부적 결과만으로 도덕적 판단을 하며, 벌이나 고통을 피하기 위하여 명성이나 권위에 대한 자기중심적 복종으로 도덕적 행동을 하는 단계로 규칙이 가지고 있는 의도나 그것이 만들어진 동기 또한 전혀 이해하지 못하며 상호 관련성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제1단계의 도덕성은 자아 중심적 관심이 우세하고 남의 입장은 고려하지 못하여 타인이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행동의 옳고 그름은 그 행동의 외적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되며 동기나 의도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모나 교사 등 권위자의 견해와 본인의 견해가 분화되어 있지 않은 것도 특징입니다.

제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의 도덕성 단계(Instrument Hedonist Orientation)

제2단계는 자기 자신만이 아니라 타인도 같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이해하며 올바른 행위란 그 자신들이 욕망을 충족시키는 행위로 생각하여 인간관계를 일종의 교환 관계로 간주합니다. 공정성이나 상호성, 공정한 분배 등의 개념이 나타나지만 실용적인 관점에서 비롯된 행위입니다. 행위의 물리적 형태 나 결과를 행위의 인간적 필요라는 것과 구분하고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합니다. 제2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개인주의적 관점이 우세합니다. 본인의 흥미, 이익, 관심을 권위자의 것과는 구분을 지을 수 있을 만큼 성숙되어 있고 자기 이득을 위한 수단으로써의 남과의 거래가 전개됩니다. 이때 남에 대한 공정한 규칙 적용을 도덕의 전부인 것처럼 인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인습적 도덕 수준(Conventional Moral Level)

개인이 가정이나 집단 그리고 국가의 기대를 따르는 것이 그것의 즉각적인 결과와는 상관없이 그 자체로서의 가치를 가집니다.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기대나 사회의 질서에 단순히 동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충실히 따르고자 하며 질서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여 정당화하고 그 질서에 관련된 개인이나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합니다.

제3단계: 대인관계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Interpersonal Concordance Orientation)

제3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올바른 행위는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해 주고 도와주는 행위이므로 타인이 승인하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갖는 어떤 생각과 기대는 다른 사람 또한 갖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이유로 다른 사람들의 비난이 두려워 도덕적 행위를 하기도 합니다. 제3단계에서의 도덕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해 나가기 위한 도덕성을 갖기 때문에 법에 위반되는 행위도 상황에 따라 용서나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제3단계에서는 사람들이 주변 사람들에 맞추려고 노력합니다. 역지사지(易地思之)의 경우도 있으나 아직 추상적인 사고를 못 하기 때문에 보다 일반화된 타인에 대한 개념과 관심이 생겨나지 못합니다.

제4단계: 사회질서 준수로서의 도덕성(Law and Order Orientation)

제4단계에서는 서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끼리도 법에 의해 유대 관계를 맺고 법에 의해 사회 전체가 유지되고 각 개인은 법에 의해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가지게 되며, 법에 대해서 한 사람이라도 예외를 허용한다면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올바른 행위란 기본적인 규칙에 의해 정의되어 의무를 수행하는 행동, 권위를 존경하는 행동, 주어진 사회질 서를 그 자체로서 유지하려는 행동입니다. 도덕적으로 옳은 것은 사회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사회 질서를 지키며, 사회의 복지를 유지시키는데 공헌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회가 부과하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여깁니다. 도덕적으로 옳은 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사회, 집단 또는 자신이 속한 기관을 그 전체로서 유지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3) 인습 이후 도덕 수준(Post-Conventional Moral Level)

이 수준에서는 도덕적 가치나 원리가 가치를 표방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권위와 자신과 그 집단과의 유대와는 관계없이 그 자체로서 타당성을 가진다고 생각하는 수준입니다. 이 수준은 새롭고 좋은 법을 제정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제5단계: 사회 계약적 원리 지향의 단계(Social-Contract Legalistic Orientation)

제5단계에서의 올바른 행동은 개인의 기본 권리에 비추어 모든 사회가 비판적인 합의에 도달한 도덕 기준으로 정의되는 공리주의적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 가치의 상대성을 인정하면서도 합의하는 방법상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법적 관점이 중요시되지만 법의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합리적 고려에 따라 법도 수정 가능하다는 것 또한 중시합니다. 인간은 다양한 가치와 의견을 자기 나름대로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대다수의 가치와 규칙은 집단에 따라 상대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집단에 따른 상대적 가치는 그 나름대로 준수될 필요를 인정하되, 사회 계약의 원리에 따라 모든 집 단에게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상대적 가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 가치도 존재함을 제5단계에서 인식하게 합니다. 또한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을 하는 이유는 의무감을 바탕으로 합니다. 의무감은 자신과 타 인의 권리가 사회 계약적인 규칙을 준수함으로써 최대한 보호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생성되는 것입니다. 가정, 우정, 신뢰 그리고 직장에서의 업무 등은 모두 사회 계약이란 대 원칙 위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며, 타인의 권리 존중이란 가치의 준수가 핵심적 관심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제5단계의 사람들은 사회계약 성립의 취지에 입각해서 사회를 바라봅니다. 그래서 사회계약, 사회적 합의, 객관적 공평성, 합법적 절차 등의 관점에서 사회적 문제를 통합 정리하려 하고, 도덕적 관점과 법리적 관점에서 사회의 문제를 고려할 줄 알며, 도덕적, 법리적 요소는 소로 갈등하고, 조화롭게 해 결하는 것이 수월하지 않음을 이해합니다. 그래서 이 단계의 사람들이 법을 지키겠다고 결심할 때까지는 그 법에 대해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자세로 그 법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법을 지킵니다.

제6단계: 보편적 도덕 원리에 확신으로서의 도덕성(Conscience or Principle Orientation)

제6단계에서의 올바른 행위는 스스로 선택한 도덕 원리에 따른 양심의 결단으로 행해지며, 도덕 원리는 논리적으로 포괄적이고 보편적이며, 일관성 있는 것으로 공정성, 인간권리의 상호성과 평등, 개인으로의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 등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이 지닌 원리를 어기게 하는 자책감에 대한 관심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됩니다.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는 정의의 보편적 원리, 인권의 평등성, 인간의 존엄성과 같은 보편적 윤리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옳은 행위를 해야만 하는 이유는 보편적 윤리 원칙이 삶의 원칙으로 타당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사는 것은 보편적 윤리 원칙에 따라 사는 것 자체이기 때문이란 판단에 의해서 드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콜버그(Kohlberg)의 도덕 발달 단계의 특징을 살펴보면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콜버그(Kohlberg)의 도덕 발달 단계 특징>

수준 단계 특징 Ⅰ 수준 (인습 이전 도덕 수준) 1단계 처벌과 복종 지향의 단계 권위자나 강력한 힘에 복종하여 처벌을 피하기 원한다. 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의 단계 이해관계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이 도덕적 근거가 되어 타인과 공정한 거래를 성립한다. Ⅱ 수준 (인습적 도덕 수준) 3단계 대인 관계의 조화를 위한 단계 인간관계의 조화로 도덕성을 나타내어 다른 사람들로부터 기대되는 역할을 충분히 한다. 4단계 사회질서 및 권위 유지의 단계 올바른 행동으로 의무를 수행하고, 권위를 존중하며 사회질서와 질서유지의 도덕성을 의미한다. Ⅲ 수준 (인습 이후 도덕 수준) 5단계 사회계약적 원리 지향의 단계 기본 권리와 기본가치, 사회의 합법적 계약에 중점을 두어 합리적 계산을 통한 근거에 도덕적 관념을 둔다. 6단계 보편적인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의 단계 보편 윤리적 원리에 의해 도덕적 결정을 내리고 이것이 사회 관습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해도 마땅히 따라야 할 것으로 주장한다.

콜버그(Kohlberg)는 이상의 여섯 단계에서 상위 단계는 철학적으로 더 우위에 있어서 하위 단계로부터 이동되어야 하는 단계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콜버그(Kohlberg)가 말하는 성숙한 도덕적 행동은 성숙한 도덕적 사고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이 말은 도덕적 추리에 의해 생성된 행위만이 오로지 도덕적 영역에 속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올바른 도덕적 행위란 도 덕적 지식의 기초 위에서 도덕적 판단을 하고 이 판단에 따른 행위가 이루 어 졌을 때를 말하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콜버그(Kohlberg)의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분석(윤다영, 2012)

[윤리] 콜버그의 인간의 도덕성 발단단계 – THE PAGE

‘인습’이란 준거를 두고 이전=인습-이후의 3수준으로 구분한 기준은 ‘인습시기에 형성되고 인지 구조와 되는 사회적 관계와 동기와 욕구를 생각해 내고 사회질서를 고려할 줄 아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습 이전에는 이러한 사항이 고려되지 않은 시기로 벌과 복종의 중시, 개인주의와 상호적 호혜성에 의한 도구적 쾌락주의 단계이다. 인습 이후에는 인습보다 사회계약과 인권, 보편적이고 윤리적인 원칙을 중요시할 수 있는 단계이다. 도덕성 발달단계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달단계를 거친다고 되어 있긴 하지만 인습 이전 단계를 보이는 어른의 상황적 판단이 있을 수 있다.

[사례-하인즈의 딜레마] 유럽에서 한 부인이 암으로 죽어가고 있다. 같은 도시에 사는 제약사가 최근 발명한 라듐 형태의 약이 그 부인을 살릴 수 있다. 하지만 제약사는 원가의 10배나 되는 4천 달러를 약값으로 매겨 놓았다. 병든 부인의 남편인 하인즈는 돈을 빌리려고 백방으로 뛰어다녔으나 겨우 약값의 2천 달러밖에 구하지 못했다. 하인즈는 제약사에게 아내가 죽어가고 있으니 약을 싸게 팔든지, 아니면 모자라는 돈을 외상으로 달라고 애원했지만 거절당했다. 하인즈는 절망에 빠져 약방을 부수고 들어가 약을 훔칠 궁리를 한다.

가장 높은 단계의 도덕성으로 이 단계의 도덕성을 가진 사람은 누군가 만들어 놓은 규칙과 무관하게 자신의 양심에 따라 행동한다. 어떠한 행동이 자신에게 유리한지 따지기 보다는 어떤 행동이 옳은 행동인가를 스스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회가 정한 규칙과 법률이 자신의 양심에 배치된다고 판단되면 규칙과 법률을 거부하는 행동도 하게 된다.

8 thg 4, 2017 — 1) 전 인습적 단계 : 차별과 복종의 단계, 도덕을 보상의 차원으로 이해 · 2) 인습적 단계 : 사회에서 요구되는 범규나 도덕규범을 이해하고 준수. 그러나 …

  • Source: kangsunseng.tistory.com
  • Views: 91027
  • Publish date: 55 minute ago
  • Downloads: 24445
  • Likes: 1608
  • Dislikes: 5
  • Title Website: [윤리] 콜버그의 인간의 도덕성 발단단계 – THE PAGE
  • Description Website: 8 thg 4, 2017 — 1) 전 인습적 단계 : 차별과 복종의 단계, 도덕을 보상의 차원으로 이해 · 2) 인습적 단계 : 사회에서 요구되는 범규나 도덕규범을 이해하고 준수. 그러나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콜버그 도덕발달이론 2편 (Kohlberg Moral Development Episode 2)

  • Source: Youtube
  • Views: 90826
  • Date: 6 minute ago
  • Download: 33659
  • Likes: 435
  • Dislikes: 3

[윤리] 콜버그의 인간의 도덕성 발단단계

콜버그(Kohlberg,1981)

– 미국의 심리학자로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 영향을 받아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아동+성인을 면접해 도덕적 쟁점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피아재의 이론에 심취해 있었으므로 인지론적으로 접근하였다.

– 시카고에 있는 70여명 정도 중, 하류 계층의 소년들을 대상으로(10, 13, 16세) 도덕적 갈등 상황(딜레마, 인지 갈등)이 있을 때 그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에 대한 추리과정을 연구하였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개요

– 도덕성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질적으로 구분되는 일정한 발달의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 도덕성은 문화를 통해 전수되는 것이 아니라 인지구조의 발달에 따라 도덕적 판단 양식이 변형되고 재구조화 되면서 발달한다. 즉, 문화는 틀리더라도 서양과 동양이나 상관없이 도덕성 발달단계는 동일하다는 것이다.

– 도덕성이 문화를 통해 전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덕성은 문화와 관계없이 동일한 발달단계를 가진다. 즉,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의 영향으로 인지구조와 생각의 양식에 따라 도덕성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 아동과 성인에게 ‘도덕적 딜레마(갈등) 또는 어려운 결정을 해야 하는 가설적 상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조사함으로써 도덕적 단계를 추론할 수 있다.

– 도덕성은 인습이전 수준, 인습수준, 인습 이후의 수준 세단계와 각 단계별 두단계로 나누어 3수준 6단계라고 명명한다.

– 옳고 그른 것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구분하며, 옳은 행동에는 자긍심을, 그른 행동에는 죄책감을 느끼는 능력이다.

‘인습’이란 준거를 두고 이전=인습-이후의 3수준으로 구분한 기준은 ‘인습시기에 형성되고 인지 구조와 되는 사회적 관계와 동기와 욕구를 생각해 내고 사회질서를 고려할 줄 아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습 이전에는 이러한 사항이 고려되지 않은 시기로 벌과 복종의 중시, 개인주의와 상호적 호혜성에 의한 도구적 쾌락주의 단계이다. 인습 이후에는 인습보다 사회계약과 인권, 보편적이고 윤리적인 원칙을 중요시할 수 있는 단계이다. 도덕성 발달단계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달단계를 거친다고 되어 있긴 하지만 인습 이전 단계를 보이는 어른의 상황적 판단이 있을 수 있다.

콜버그(Kohlgerg,1981)의 인간의 도덕성 발달단계

1) 전 인습적 단계 : 차별과 복종의 단계, 도덕을 보상의 차원으로 이해

2) 인습적 단계 : 사회에서 요구되는 범규나 도덕규범을 이해하고 준수. 그러나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는 없음

3) 후 인습적 단계 : 제반윤리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 필요

[사례-하인즈의 딜레마] 유럽에서 한 부인이 암으로 죽어가고 있다. 같은 도시에 사는 제약사가 최근 발명한 라듐 형태의 약이 그 부인을 살릴 수 있다. 하지만 제약사는 원가의 10배나 되는 4천 달러를 약값으로 매겨 놓았다. 병든 부인의 남편인 하인즈는 돈을 빌리려고 백방으로 뛰어다녔으나 겨우 약값의 2천 달러밖에 구하지 못했다. 하인즈는 제약사에게 아내가 죽어가고 있으니 약을 싸게 팔든지, 아니면 모자라는 돈을 외상으로 달라고 애원했지만 거절당했다. 하인즈는 절망에 빠져 약방을 부수고 들어가 약을 훔칠 궁리를 한다.

하인즈는 결국 약을 훔쳐 아내를 구했다. 다음 날 신문에 약방 절도 기사가 실렸다. 하인즈와 알고 지내는 경찰관 브라운이 이 기사를 읽고는 하인즈가 그 약방에서 뛰쳐나와 도망간 것을 기억해냈다. 브라운은 하인즈를 고발해야 할 것인지 어떨지 고민에 빠졌다.

결국 브라운은 하인즈를 고발했다. 하인즈는 체포되어 법정에 이송되었다. 배심원들이 할 일은 유죄와 무죄 여부를 가리는 것이었다. 배심원들은 하인즈가 유죄라고 판정했다. 이제 재판관이 선고 형량을 결정하는 일만 남았다.

하인즈는 약을 훔쳤기 때문에 벌을 받아야 하는가? 약제사는 터무니없이 비싼 약값을 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가? 약제사가 부인을 죽인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난하는 것은 정당한가? 만약 정당하다면, 그리고 부인이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이었다면, 약제사를 더 심하게 처벌해야 할까?

>> 도덕성 6단계로 보기

제 1수준(1~2단계) : 인식 범위가 자신에게 한정되어 진정한 의미의 도덕성 개념이 없는 수준

[1단계: 처벌 회피, 복종 중시]

“남의 물건을 훔치면 경찰한테 잡혀 가잖아요 훔치면 안되요.”

1 단계는 규칙을 중요시하는 단계이다 . 규칙을 어기면 벌을 받기 때문에 벌을 받기 싫으면 복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나이가 어린 아이일수록 흔히 볼 수 있는 단계이나, 성인이 되어도 이 단계에 머물러 있는 사람을 간혹 볼 수 있다.

[2단계: 욕구충족, 거래 중시]

“정직하면 칭찬도 받고 선물도 받으니까요.”

2단계의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개인적 관점을 중요시 한다. ‘어떤 것이 나에게 더 좋은 것을 주는가’로 판단하는 것으로 물건을 훔치고 안 훔치고의 문제가 아니라, 어떠한 행동이 내게 더 필요한 행동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하인츠가 약을 훔쳤을 경우와 훔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하는 개인적 손익을 비교한다.

제 2수준(3~4단계) : 인식의 범위가 타인까지 확대. 자신이 속한 집단의 기대나 기준에 맞추어 행동하려고 함.

[3단계: 평판, 대인관계 중시]

“내가 정직하면 엄마가 좋아할거야.”

3 단계의 아이들은 주변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한 다 .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의 관점과 의도를 이해하고 고려할 수 있는 시기로 이 단계에 있는 아이들은 ‘ 착한 아이 ‘ 가 되고자 한다 . 이 단계에 계속 머무르게 되면 마마보이로 불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

[4단계: 법과 질서 중시]

“우리 모두 규칙을 지켜야 해”

4단계는 고려대상이 ‘전체로서의 사회’로 확장된다.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권위를 존중하고 스스로에게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며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도 규칙을 지키려고 한다

이 시기에 속하는 사람들은 도덕적 기준을 판단할 때 법과 질서를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자동차가 전혀 없는 새벽 횡단보도에서도 신호를 준수 . 사회가 원하는 수준의 도덕성)

제 3수준(5~6단계) : 도덕적인 판단에 자신의 사유가 포함되는 시기. 보편적인 도덕원칙과 양심에 따라 판단 (이 수준에 도달하는 사람은 극소수)

[5단계: 사회계약과 개인의 권리]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다양하고, 각자의 믿음과 가치가 다르다는 것과 법의 지배가 합의된 기준에 근거해야 한다고 이해하며 타인을 배려하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려고 하는 매우 높은 도덕성을 보여준다.

사회계약적인 관점을 중시하여 약을 훔친 것은 불법이나 아내를 구하기 위한 일 이었으므로 용서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6단계: 보편적 윤리, 양심, 정의, 생명존중]

가장 높은 단계의 도덕성으로 이 단계의 도덕성을 가진 사람은 누군가 만들어 놓은 규칙과 무관하게 자신의 양심에 따라 행동한다. 어떠한 행동이 자신에게 유리한지 따지기 보다는 어떤 행동이 옳은 행동인가를 스스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회가 정한 규칙과 법률이 자신의 양심에 배치된다고 판단되면 규칙과 법률을 거부하는 행동도 하게 된다.

보편적인 윤리 개념을 중시하여 법이나 관습보다 인간의 생명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 중심으로 보는 도덕성 발달 이론

“유럽 어느 곳에선가 어떤 부인이 암으로 죽어 가고 있었다. 그 부인을 살리는 약은 오직 한 가지밖에 없었다. 이 약은 같은 마을에 사는 어느 약제사가 발견한 일종의 라듐이었다. 그 약은 재료 원가가 비싸기도 했지만, 약제사는 약값을 원가의 10배나 매겨 놓았다. 그는 라듐을 200달러에 구매하여 적은 분량의 약을 만든 후, 그 약에 2,000달러를 요구한 것이다. 아픈 부인의 남편인 하인츠는 돈을 구하려고 아는 사람들을 모두 찾아다녔으나 약값의 절반인 1,000달러밖에 마련하지 못했다. 남편은 약제사에게 부인이 죽기 직전이라는 사정을 설명하고 약을 싸게 팔거나 아니면 외상으로라도 팔아 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나 약제사는 ‘안 됩니다. 나는 이 약을 개발하기 위해 일생의 공을 들였고, 이 약을 통해서 돈을 벌려고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절망한 하인츠는 마침내 약방문을 부수고 들어가 부인을 위하여 약을 훔쳤다.”(Colby & Kohlberg, 1987)

– 두 번째 수준은 인습적 수준으로 타인이나 관습 등 외부요인으로 규정된 도덕관을 내면화하는 시기입니다. 이 수준은 3단계인 대인관계 조화로서의 도덕성과 4단계인 법과 사회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으로 구분합니다. 마지막 수준은 후인습적 수준으로, 도덕적 가치를 완전히 내면화하여 외부 기준이 필요 없는 시기입니다. 이 수준은 5단계 사회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개인 권리 및 사회 계약 단계), 6단계 보편적 도덕원리 지향 단계로 나뉩니다.

성차 면에서는 콜버그 이론이 불완전하다고도 합니다. 남성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계가 있다고 하며, 실제 상황에 기인한 예를 통해 도덕 판단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 길리건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도덕적 수준이 낮다는 성차별 관점이 있다고 합니다. 도덕적 사고만 강조하고, 도덕적 행동과 감정을 무시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타인과의 관계성 측면을 등한시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13 thg 7, 2021 — 1. Piaget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연구. 피아제는 아동의 도덕적 사고 능력 발달에 관심을 가졌고, 피아제는 1932년에 발표한 아동의 도덕적 판단 …

  • Source: streamingdream.tistory.com
  • Views: 103157
  • Publish date: 53 minute ago
  • Downloads: 44726
  • Likes: 5950
  • Dislikes: 3
  • Title Website: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 중심으로 보는 도덕성 발달 이론
  • Description Website: 13 thg 7, 2021 — 1. Piaget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연구. 피아제는 아동의 도덕적 사고 능력 발달에 관심을 가졌고, 피아제는 1932년에 발표한 아동의 도덕적 판단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Source: Youtube
  • Views: 101595
  • Date: 49 minute ago
  • Download: 80627
  • Likes: 2121
  • Dislikes: 7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 중심으로 보는 도덕성 발달 이론 – 피아제, 콜버그, 길리건

오늘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상담 공부를 하거나 교육심리 공부를 할 때 발달이론으로 배우게 되는 이론입니다.

먼저, 피아제의 발달이론을 빼놓을 수 없어서 피아제 도덕성 발달 이론부터 설명해보겠습니다.

1. Piaget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연구

피아제는 아동의 도덕적 사고 능력 발달에 관심을 가졌고, 피아제는 1932년에 발표한 아동의 도덕적 판단이라는 저서도 업적으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도덕적 사고 발달에 대해 각 단계가 있으며, 전도덕적 단계, 타율적 도덕성, 자율적 도덕성 단계로 3단계로 개념화했습니다.

1) 전도덕기

– 5세 이전 아동들은 규칙에 관심이 없고, 이해가 없습니다. 단순한 활동이 재밌고 흥미로워 놀이하는 것이며 규칙을 따르면서 체계적으로 놀이를 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습니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데 있어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아동들이 옳고 그름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2) 타율적 도덕성

– 5~10세 아동에게 해당하는 시기로 이 단계에서는 규칙에 대해 강한 존중을 보입니다. 타율적→타인의 통제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아동들은 규칙과 정의를 변하지 않는, 사람들의 통제 밖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규칙을 침해할 수 없고 불변의 것으로 생각하며 규칙을 위반하면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규칙을 알려주는 성인도 무조건 따르게 된다고 합니다.

3) 자율적 도덕성

– 10세 이상 아동의 시기로 인지가 발달하고 성인의 통제에서 조금 자유로워집니다.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규칙과 법은 사람들이 만든 것이고 가변적임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규칙은 집단 내의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지켜야 하고, 상황에 따라 합의에 따라 규칙이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 공정성과 협력에 대해 발달하는 것으로 상호 보상에 대한 이해가 있으며, 어린아이의 발상으로 누군가가 나를 도와주면 상대를 도와주는 식의 갚기 보다 대접을 받고자 남을 대접하는 것에 대한 이상적 상호 보상의 원칙을 이해하게 됩니다.

▶ 피아제는 인지 발달과 사회적 경험 모두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습니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이론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피아제가 제안한 도덕성 발달 이론으로 콜버그는 더 확대하여 전 생애 걸친 상세한 도덕 발달이론을 세웠습니다.

2. Kohlberg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콜버그가 제시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단계적 변화에 대한 이론을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콜버그는 아동이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논리를 사용하는지 관찰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도덕적 사고의 세 가지 수준을 제시했습니다.

– 첫 번째 수준은 전인습적 도덕 사고 수준으로 외부적 보상이나 처벌에 근거하여 도덕 판단을 합니다. 이 수준은 1단계 타율성 도덕성, 2단계 욕구충족 수단으로서의 도덕성으로 나뉩니다.

– 두 번째 수준은 인습적 수준으로 타인이나 관습 등 외부요인으로 규정된 도덕관을 내면화하는 시기입니다. 이 수준은 3단계인 대인관계 조화로서의 도덕성과 4단계인 법과 사회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으로 구분합니다. 마지막 수준은 후인습적 수준으로, 도덕적 가치를 완전히 내면화하여 외부 기준이 필요 없는 시기입니다. 이 수준은 5단계 사회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개인 권리 및 사회 계약 단계), 6단계 보편적 도덕원리 지향 단계로 나뉩니다.

*콜버그의 도덕적 딜레마

“유럽 어느 곳에선가 어떤 부인이 암으로 죽어 가고 있었다. 그 부인을 살리는 약은 오직 한 가지밖에 없었다. 이 약은 같은 마을에 사는 어느 약제사가 발견한 일종의 라듐이었다. 그 약은 재료 원가가 비싸기도 했지만, 약제사는 약값을 원가의 10배나 매겨 놓았다. 그는 라듐을 200달러에 구매하여 적은 분량의 약을 만든 후, 그 약에 2,000달러를 요구한 것이다. 아픈 부인의 남편인 하인츠는 돈을 구하려고 아는 사람들을 모두 찾아다녔으나 약값의 절반인 1,000달러밖에 마련하지 못했다. 남편은 약제사에게 부인이 죽기 직전이라는 사정을 설명하고 약을 싸게 팔거나 아니면 외상으로라도 팔아 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나 약제사는 ‘안 됩니다. 나는 이 약을 개발하기 위해 일생의 공을 들였고, 이 약을 통해서 돈을 벌려고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절망한 하인츠는 마침내 약방문을 부수고 들어가 부인을 위하여 약을 훔쳤다.”(Colby & Kohlberg, 1987)

하인츠는 약을 훔쳐야만 했는가? 절도는 옳은 것인가 아닌가? 남편의 의무는 무엇인가? 좋은 남편이라면 약을 훔쳤을 것인가? 가격 책정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약제사가 원가의 10배 가격을 붙인 것은 옳은 일인가?

[네이버 지식백과]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s theory of moral reasoning]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제1수준 – 인습이전 수준(전 도덕기) 0~6세] : 가장 낮은 수준의 도덕 발달수준

(1) 타율성 도덕성(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단계 : 행동의 결과에 의한 도덕적 판단이 이루어지며 옳은 행동이란 규칙을 잘 지켰는지에 따라, 힘의 복종 했는지에 따라 도덕판단의 기준이 된다. 표면적인 결과로 도덕적 판단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 하인즈 딜레마 : 약을 훔치면 안 된다, 훔치면 감옥에 가고 벌을 받게 된다.

(2) 개인주의 단계(욕구 충족 수단으로서 도덕성) : 보상, 보답을 받기 위해 규칙을 지키거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줍니다. 즉,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동한다는 것입니다.

– 하인즈 딜레마 : 아내를 죽게 두며 안된다. 생활하는 데 난처해질 것이다.

[제2수준 인습 수준(타율적 도덕기) 6~12세] : 중간 정도의 내면화 시기. 기준에 따른 도덕적 판단하지만 보통 타인이나 사회에 의한 규정 기준

(3) 대인관계에서 조화를 위한 도덕성(착한 아이 지향) 단계 : 좋은 아이 단계이며, 타인에 대한 배려, 충성심이 핵심적인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도덕적 행동은 타인과 자신의 관계 속에서 역할에 기대되는 행동을 할 때 성립됩니다. 다른 사람의 비난을 피하고, 인정과 좋은 관계 유지에 초점을 둬서 규칙을 지킵니다.

– 하인즈 딜레마 : 약을 훔치지 않으면 가족들이 인정 없는 남편이라 생각할 것이다. VS 약을 훔치면 남의 것을 훔치는 것이라 나쁜 일이다.

(4) 법과 사회질서 지향 도덕성 단계 : 사회 질서, 법, 사회적 의무를 중심으로 도덕적 판단을 하는 단계입니다. 법과 질서를 무조건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 하인즈 딜레마를 접하고 나서 약을 훔치는 것은 법을 어기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

[제3수준 후인습적 수준(자율적 도덕기) 12세 이후] : 도덕성이 완전히 내면화 되어 외부 기준이 필요하지 않은 시기 입니다. 다른 기준도 맞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합니다.

(5) 개인 권리 및 사회계약 단계 : 이 단계에 속한 개인은 세상에 다양한 의견과 권리와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고 다양한 의견이 인간의 가치를 지키는 이상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법의 목적은 인간의 기본권리와 사회적 공리를 입각하여 복지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그에 따라 법은 사회적 계약이므로 생명과 자유가 침해되지 않은 한 수정 가능하다고 옳고 그름을 판단합니다.

– 하인즈 딜레마 : 약을 훔치는 것은 잘못되었지만, 생명을 구하려고 한 일이므로 용서받을 수 있을 것이다.

(6) 보편적 원리 지향의 도덕성 단계 : 최종 단계는 가장 보편적 원리를 토대로 도덕판단 하는 단계입니다. 도덕판단의 기준이 관습이나 법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양심과 존엄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 하인즈 딜레마 : 약을 훔치지 않는다면 비난받지도 않을 것이고, 다른 사람의 법에 따라 사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 또한 자신의 양심의 기준에 맞게 사는 것은 아닐 것이다.

3. 콜버그 발달 단계 문화 차이

1) 콜버그 이론은 1단계~4단계까지는 문화 차이가 크지 않다고 보고된다고 합니다.

2) 문화권에 따라 차이가 있기도 하고, 후인습적 사고 단계에 관해서는 문화권에 따른 상당한 차이가 보고되기도 합니다. (네팔의 불교 승려의 경우, 정의는 중요한 가치가 아니고 ‘번민으로부터의 해방’이 중요한 영역으로 나타남.)

3) 인습적 수준에 해당되는 사고라 해도 문화적 맥락에 따라 더 성숙한 수준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4. 콜버그 발달 이론의 한계점 :

성차 면에서는 콜버그 이론이 불완전하다고도 합니다. 남성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계가 있다고 하며, 실제 상황에 기인한 예를 통해 도덕 판단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 길리건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도덕적 수준이 낮다는 성차별 관점이 있다고 합니다. 도덕적 사고만 강조하고, 도덕적 행동과 감정을 무시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타인과의 관계성 측면을 등한시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5. Gilligan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이론

길리건은 콜버그의 이론이 성차별적이라고 비판합니다. 남성의 도덕성이 정의 지향적이고, 여성의 도덕성은 대인 지향적이라고 주장합니다. 길리건은 성적갈등, 낙태와 같은 문제와 관련되는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도덕적 판단을 분석하였습니다.

길리건의 여성 도덕성 발달 단계 3단계 2과도기 제 1수준 : 자기 중심적 단계 – 여성이 자기의 이익과 생존을 위해 자기 중심적으로 몰두하는 단계.

–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결여, 자기 자신이 중요한 욕구로 판단을 함. 어떤 것이 자신에게 최상인 것인가로 결정과 판단의 준거로 삼음. 제1.5수준(과도기) :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 변화 – 이기심과 책임감의 대립 개념이 등장하는 시기

– 자아와 타인 관계의 연계성을 인식, 이기심에 대한 자책 제 2수준 : 책임감과 자기희생의 단계 – 타인에 대한 책임으로 보살피고자하는 모성애적 도덕기의 단계, 배려 대상에서 자신은 제외되어 평행상태가 파괴됨.

– 타인의 대한 배려와 책임감, 자기희생 지향 제2.5수준(과도기) : 선에 대한 관심에서 진실에 대한 관심으로 변화 – 타인의 욕구 뿐 아니라 자신의 욕구도 고려하며 책임감이 확대되는 단계

– 무조건 적인 희생을 다시 반성하고 재고찰 제 3수준 : 자신과 타인에 대한 배려 단계 – 인간 관계가 상호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기심과 책임감 간의 대립이 해소되는 단계

– 자신을 무기력하고 수동적, 복종적 존재로 여기지 않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적극적이고 동등한 참여자가 됨.

– 자신에 대한 책임감을 느낌, 도덕적 판단의 보편적인 자기선택 원리 단계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백과, 고인숙 편저, 3급 청소년상담사, 2021, 서울고시각, 김진원, 사회복지사 1급 적중요약집, 2020, ㈜가치산책컴퍼니)

[교육심리학 2022]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

23 thg 9, 2022 — Ⅰ. 서론 콜버그의 인지발달적 관점은 도덕적 추론과 사회인지적 과정에 주된 관심을 갖는다. 관심은 인지(특히 조망수용)가 도덕.

  • Source: m.reportworld.co.kr
  • Views: 49131
  • Publish date: 35 minute ago
  • Downloads: 48299
  • Likes: 5452
  • Dislikes: 4
  • Title Website: [교육심리학 2022]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
  • Description Website: 23 thg 9, 2022 — Ⅰ. 서론 콜버그의 인지발달적 관점은 도덕적 추론과 사회인지적 과정에 주된 관심을 갖는다. 관심은 인지(특히 조망수용)가 도덕.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교육학 한이수] 교육학 논술 학자특강 – 학자별로 보는 교육학 이론 3편_콜버그_by 임용닷컴

  • Source: Youtube
  • Views: 87198
  • Date: 8 hours ago
  • Download: 61865
  • Likes: 1807
  • Dislikes: 10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Bing에서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콜버그 의 도덕성 발달 단계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예시, 콜버그 도덕발달이론의 한계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도덕성 발달이론 정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7단계, 도덕성 발달교육, 도덕 6단계, 길리건 도덕발달이론

READ  톱 1530 화장품 유통 기한 사이트 업데이트 85 시간 전

Trả lời

Email của bạn sẽ không được hiển thị công khai. Các trường bắt buộc được đánh dấu *